저녁 6시 34분부터 사고직전 밤 10시 11분까지 11건 신고
"압사당할 것 같아요. 사람 죽을 것 같아요"…신고는 다급
매 신고마다 경찰 "위치가 어디예요…출동할게요" 느긋
156명의 사망자 등 총 309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 이태원 대참사 사고 직전 모두 11건의 ‘압사 사고 징후’를 알리는 시민들의 신고가 있었던 것으로 1일 밝혀졌다.
11건의 신고 모두 압사 참사가 일어난 사고 지점에서 나왔다.
당시 신고 내용은 “압사 사고가 날 것 같다”는 매우 급박한 신고였지만, 경찰 등 정부가 이를 막지 못해 윤석열 정부의 부실한 대응 등 책임론이 거세질 전망이다.
첫 번째 신고는 사고 4시간 전인 10월 29일 오후 6시34분이었다. 신고자는 “사람이 내려 올 수 없는데, 계속 밀려 올라오니까, 압사 당할 것 같아요”라고 당시 급박했던 현장 분위기를 알렸다. 이에 경찰관이 “사람들의 교행이 잘 안되고 압사, 밀려서 넘어지고 그러면 큰 사고가 날 것 같다는 거죠?”라고 되묻자, 신고자는 “네 네 지금 너무 소름끼쳐요”라고 긴박한 상황을 재차 확인해줬다. 신고가 끝날 무렵에 경찰관은 “출동해서 확인해 볼게요”라고 말했다.
두 번째 신고 역시 사람들이 넘어지고 있는 다급한 현장 상황을 알렸다. 신고자는 “여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밀치고 난리고 나서 막 넘어지고 난리가 났고, 다치고 하고 있거든요”라고 알리면서 “단속 좀 어떻게 해 주셔야 할 것 같다”고 경찰의 대응을 요청했다. 두 번째 신고는 사고 두 시간여 전인 저녁 8시 9분에 있었다.
그로부터 24분 뒤인 저녁 8시 33분 세 번째 신고가 이어졌다. 세 번째 신고자 역시 “사람들 지금 길바닥에 쓰러지고, 막 지금 너무 이거 사고날 것 같은데, 위험한데”라고 긴급한 대응을 요청했다. 경찰관이 “사람들이 쓰러졌다고요?”라고 되묻자, 신고자는 “네, 쓰러지고 통제가 안돼요”라며 “진짜 심각하다. 영상 찍어 놓은 것도 있는데 보내드릴 방법 있을까요?”라고 까지 했다. 경찰관이 “112문자로 보내시면 된다”고 하자, 신고자는 “알겠습니다”라고 답했다. 대화 내용으로 미뤄 신고자가 현장 상황을 촬영한 영상을 보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 번째 신고는 20분 뒤인 저녁 8시 53분에 접수됐다. 신고자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막 압사당할 것 같아서 우리가 OOO라운지라는 곳이예요. 좀 부탁드릴게요”라고 경찰의 출동을 요청했다. 경찰관은 “할로윈 파티 때문에 그러는 거예요?”라고 물었고, 신고자는 “맞습니다. 아수라장이예요. 아수라장. 진짜 장난 아니예요”라고 연신 확인을 해줬다. 경찰관은 “출동할게요”라고 했지만 정확한 대응 조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섯 번째 신고자 역시 "지금 묶여가지고 대형사고 나기 일보 직전이예요"라고 다급하게 알렸지만, 경찰관은 이전 네 차례의 신고를 받아서 인지 "지금 그 할로윈 행사 때문에 그렇죠?"라며 "알겠습니다"라고 반응했다. 다섯 번째 신고는 사고 1시간 15분전인 9시에 있었다.
바로 2분 뒤인 밤 9시 2분 여섯 번째 신고자는 "길에서 떠밀리고 있거든요. 이러다 진짜 사고 날 것 같아요" "여기 진짜 길 어떻게든 해주세요. 진짜 사람 죽을 것 같아요"라고 애원하듯 다급하게 대응을 요청했다. 경찰관은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변했다. 경찰의 대응 조치가 있었는지 여부와 정확히 어떤 대응을 했는지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그리고 5분 뒤에 일곱 번째 신고가 이어졌다. 신고자는 "여기 지금 사람들 너무 많아서 압사당할 위기거든요"라며 "통제 좀 부탁드릴게요"라고 다급하게 압사 사고 위험을 전했다. 이 때도 경찰관은 "알겠습니다"라고 답변만 하고 대응은 이뤄지지 않았다.
3분 뒤인 저녁 9시10분 여덟 번째 신고는 "안쪽에 애들 막 압사당하고 있어요"라고 분초를 다투듯 위험을 알렸지만 경찰관은 "위치가 어디예요?"라고 물었다. 신고가 연이어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충분히 사고 현장의 위치를 알 수 있었음에도, "그 압사 당할 것 같이 사람이 많은 장소가 이태원역 몇 번 출구라던지 좀 구체적으로 말씀"이라고 통상 신고 접수하듯 의례적인 반응을 보였다.
신고자가 "이태원역 만남의 광장"이라고 장소를 지목하자, 경찰관은 "네 알겠습니다"라며 "경찰관 출동해드릴게요"라고 선심쓰듯 반응했다.
연거푸 이어지던 신고는 잠시 끊겼다가 40분 뒤인 9시51분 다시 접수됐다. 아홉 번째 신고였다. 신고자가 "지금 되게 위험한 상황인 것 같거든요"라며 "빨리 좀 와주세요"라고 했지만, 경찰관은 "사람이 너무 많다는 거죠.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변했다.
사고 15분 전인 밤 10시 열번 째 신고가 이어졌다. 신고자가 "아우 막 골목에서 내려오기가 막 밀고 압사당할 것 같애, 통제 좀 해주세요. 예"라고 했지만 경찰관은 "위치추적해서 나가볼게요. 출동해볼게요"라고 했다. 경찰관이 다급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고 생각해서였는지 신고자가 "예"라며 전화를 끊지 않은 듯 하자 경찰관은 "전화 끊으셔도 됩니다"라고 했다. 경찰관은 출동하지 않았다.
이런 신고가 10차례 이어진 뒤 마지막으로 사고 시각 바로 4분 전인 밤 10시 11분 11번째 신고가 들어왔다. 신고자는 “여기 압사될 것 같아요. 다들 난리 났어요”라고 신고했는데, 경찰관은 또 “어디죠?”라며 위치를 물었다. 신고자가 “OOO 앞이예요”라고 위치를 알리자, 경찰관이 “위치좀 추적할게요. 이태원역 근처신가요?”라고 앞 신고자들에게 물었던 위치를 또 물었다. 경찰관이 위치를 묻는 순간 신고자는 “아~, 아~”라며 비명을 지른 뒤 “이태원 뒷길”이라고 답하고 더 이상 말이 없었다. 경찰관이 “출동할게요”라고 했으나 신고자가 답변을 들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