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가슴아프지만 日국적이고 대한민국 국적은 없다"

 

국회 환경노동위의 10일 고용노동부 대상 국정감사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역사관 문제가 또 논란이 됐다. 김 장관은 지난 8월 인사청문회 때 ‘일제강점기 국적은 일본’이라고 주장했다가 야당과 충돌했는데,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같은 주장을 굽히지 않다가 퇴장까지 당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환노위의 노동부 국정감사가 시작된 직후  본격적인 감사에 앞서 일제강점기 시절 국적 발언 논란에 대해 야당이 입장 표명 및 사과를 요구하자 "이 문제는 매우 복잡한 문제"라며 사과를 거부했다.

김 장관은 취임 후 환노위 전체회의에 첫 출석했던 지난달 9일에도 “국적 문제는 학술적으로 우선 정리돼야 한다”고 청문회 때 주장을 되풀이하다가 퇴장당했다.

이날 본격적인 국감 진행에 앞서 야당 의원들이 관련 질의를 하자 김 장관은 "일본 지배에 대해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일본이) 우리 민족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긴 것에 대대해 우려하는 심정은 또한 다르지 않다"고 해명했다.

김 장관은 그러면서도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들이 해외에 나갈 때 여권에 '일본제국의 여권' 이런 식으로 표현된 게 많았다"며 "당시 일본의 법률, 조선총독부 재령 등에도 대한민국의 국적은 없다"고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또  "일제가 자기들의 군사력으로 지배하고 있던 곳에 모두 일본 국적을 강제한 것"이라며 "역사적 사실은 그렇지만, 조선 민족이 없어진 것은 아니다. 국적이 일본이라고 해서 일본 사람이 됐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여당 의원들의 김 장관 엄호 발언이 나오기도 했지만 김 장관의 굽힐줄 모르는 ‘일본 국적’ 발언에 야당 의원들이 ”역사 인식에 문제가 있다“며 김 장관의 퇴장을 요청, 국감은 시작 40여 분만에 파행됐다.

오후에 재개된 국감에서도 공방이 이어져 야당은 김 장관의 퇴장 조치를 요구했다. 강득구 민주당 의원은 "극우유튜버나 개인 김문수가 '일본 국적' 얘기를 한다면 이해할 수 있지만, 극우 유튜버가 아니라 고용노동부 장관으로서 그렇게 얘기하는 건 반헌법적이다. 퇴장이 문제가 아니라 탄핵까지도 같이 고민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