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서 수사 자료 회수 먼저 알고 전화

공직기강비서관실·국가안보실 투트랙 정황

21일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가 진행되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앞줄 왼쪽부터),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이 출석해 자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채모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핵심 관련자인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지난해 8월 2일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으로부터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연락이 올 것"이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당시 경북경찰청은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연락을 받은 국가수사본부 과장으로부터 군에서 기록을 회수하려고 한다는 취지의 의사를 전달받은 바 있는데, 수사 자료 회수 당일 해병대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기록을 회수하기 위해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 국가안보실이 동시에 움직인 정황이다.

유 관리관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채 상병 특검법' 입법 청문회에서 '경북경찰청에 수사기록 회수 연락을 하기에 앞서 이뤄진 임 전 비서관과의 통화는 어떤 내용 이었냐'는 이건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경북청에서 연락이 올 것이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유 관리관은 "임 전 비서관이 (8월2일에) 전화를 해 경북청에서 저한테 전화가 올 거다라는 말을 해 줬다"며 "(이후에) 부재중 전화가 와 있어 경북청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다시 전화했다"고 말했다. 사실상 경북경찰청과 유 관리관의 통화가 성사된 배경에 임 전 비서관의 통화가 먼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뉴스버스가 확보한 유 관리관의 통화 내역에 따르면 8월 2일 유 관리관은 오후 1시 42분쯤 임 전 비서관의 전화를 받아 2분 12초간 통화한 뒤 곧바로 경북청 수사팀 간부에게 전화를 걸어 3분 13초 통화했다.

이에 이 의원이 “임 전 비서관이 전화에서 ‘어떤 식의, 어떤 내용의 대화를 하라’ 그런 지시를 했던 것 아니냐”고 묻자 유 관리관은 “그런 대화는 하지 않았고, 저한테는 전화가 (경북청으로부터) 올 거라는 안내만 해줬다”고 했다.

유 관리관은 경북청과 통화 내용을 묻는 이 의원의 후속 질문에 "경북청에서 '사건을 아직 접수하지 않았다. 회수해 갈 것인가'라고 물었다"며 "판단하기론 항명에 따른 무단 이첩이라 회수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유 관리관과 경북청의 통화 이후 해병대 수사단이 이첩한 수사 기록은 이날 오후 7시 20분쯤 국방부 검찰단에 넘어갔다. 임성근 전 해병 1사단장을 포함해 8명의 혐의자가 적시된 해병대 수사 기록은 국방부 조사본부의 검토를 거쳐 2명으로 축소된 후 경북청에 다시 보내졌다.

8월 2일 통화 기록만 보더라도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대통령실 관계자들이 바삐 움직인 모습들이 드러난다. 윤 대통령이 낮 12시 7분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4분 정도 통화한 직후부터 관련자들의 통화 빈도수가 높아진다.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 비서관은 임 전 비서관과 6회 가량 통화 및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았고, 윤 대통령은 이 전 장관과 13분 43초, 임 전 비서관과  4분 51초 통화를 했다. 이후 이시원·임기훈 전 비서관은 유 관리관과 접촉했고, 박정훈 대령에 대한 집단항명수괴 혐의 입건 등 움직임이 급진전됐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