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22대 국회 개원 즉시 국정조사"
"독재정권 사찰보다 더 추악...진화한 신종 디지털범죄"
뉴스버스, 전날 '검찰, 민간인 휴대전화 불법사찰' 보도
뉴스버스의 '검찰, 민간인 불법사찰' 특종보도와 관련, 조국혁신당이 윤석열 대통령 등 5명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다.
조국혁신당 비례대표 후보인 김형연 전 법제처장, 차규근 전 법무부 출입국관리본부장, 박은정 전 검사 등 3명은 22일 오전 공수처에 윤석열 대통령, 김오수 전 검찰총장, 이원석 현 검찰총장, 강백신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등을 직권남용,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으로 고발했다.
조국혁신당은 22대 국회 개원 즉시 검찰의 민간인 불법사찰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조국혁신당 비례대표 후보인 김 전 처장 등 3인은 공수처 고발에 앞서 이날 대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사 대상자라고 해도 영장에서 허용한 것 이외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데스크톱, 태블릿 등 디지털 기기에 저장된 소셜미디어 대화, 문자 메시지 녹음자료, 이메일, 동영상 등을 수집해 관리한 것은 민간인 불법 사찰과 다를게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과거 독재정권의 정보기관이 민간인을 미행·도청하고 사찰한 안기부 미림팀보다 더 추악한 범죄"라며 "디지털 시대의 맞춤으로 진화한 신종 디지털범죄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불법적인 캐비닛을 열어 누구든 수사대상자로 만들어버리는 영화처럼, 검찰이 디넷(D-net)이라 불리는 '전자캐비닛' 안에 민감한 개인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다"고 밝혔다.
조국혁신당은 "특히, 이같은 검찰 불법사찰 행위가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인 2021년 1월엔 내부지침까지 만들어 조직적으로 이뤄졌다"며 "우리법은 수사상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개인권리 침해를 우려해 디지털 정보 중 영장 범죄사실과 직접 관련이 있는 정보만을 압수토록 제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날 뉴스버스는 검찰이 주요 사건의 피의자나 참고인의 휴대전화 등 디지털기기 정보를 압수하는 과정에서 사건과 무관한 전체 정보를 불법적으로 대검 서버에 저장·보관하는 등 민간인 불법사찰을 해왔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관련기사
- 민주당 "尹, 조직적 민간인 사찰 직접 답하라"
- [단독] 尹 징계 사유 '판사사찰 문건' 작성에 압수정보 활용 정황
- [반론] ‘불법’ 반론 요청에 대검 대변인실 40일 넘게 묵묵부답
- [분석과 해설] 국정원 휴대폰 도청 범죄보다 더 큰 검찰의 조직 범죄
- [책임범위] ‘휴대전화 사찰’ 尹 대통령 등 전‧현 검찰총장 형사책임 가능성
- [단독] ‘휴대전화 불법 사찰’ 尹 검찰총장 시절 ‘예규’까지 만들어
- [단독] 검찰, 사찰정보 불법 보관했다가 재판에 불법 활용
- [단독] 검찰, 휴대전화 통째 정보 당사자 몰래 불법 수집
- [단독] 검찰, 수사권 이용 민간인 불법사찰...휴대전화 정보 불법 수집‧관리
- 더불어민주연합 "검찰 민간인 불법사찰' 공수처 고발
- 민주당, 국민의힘에 제안..."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 같이 밝히자"
- 조국 "檢 디넷, 명백한 불법 민간인 사찰…근절 특례법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