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난 여론과 논란 증폭 조짐에 황급히 진화한 듯

尹 "예산안 거둬들여 국민 심려 끼치는 일 없도록"

대통령실, 오후 까지도 "신축 불가피" 강변

민주, '혈세 펑펑' 비판하며 예산 전액삭감 주장도

녹취록서 김건희 "(영빈관) 옮길거야" 발언

서울 용산 대통령실 전경. (사진=뉴스1)
서울 용산 대통령실 전경. (사진=뉴스1)

대통령실이 16일 '국격에 걸맞는 외빈 영접 공간 불가피'를 주장하며 영빈관 건립을 강변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전면 취소를 지시했다"며 이날 저녁 영빈관 건립 계획을 급히 철회했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저녁 긴급 공지를 통해 "윤 대통령이 대통령실 영빈관 신축 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878억원짜리 영빈관 건립을 추진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뒤 '혈세 낭비' 와 부적절 논란이 거세지자 대통령실이 서둘러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뉴스버스가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기획재정부의 ‘대통령실 주요부속시설 신축’ 사업 자료에 따르면 대통령실 영빈관 건립은 사업기간 2년으로 2023년 497억 4,600만원이 책정되는 등 총사업비가 878억 6,300만원으로 잡혔다. 사업주체는 대통령 비서실이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사업 목적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외빈 접견 및 각종 행사 지원 등을 위한 주요 부속 시설 신축”으로 돼 있고, 사업 수혜자는 ‘국민’이라고 명기돼 있다. 

전날(15일) 저녁 SBS보도를 통해 영빈관 건립 소식이 알려지자, 이날 오전부터 비난 여론은 거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전북 전주시 전북도청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878억원이면, 수재민 1만명에게 1,000만원 가까운 돈을 줄 수 있다"면서 "국민은 물가로, 일자리로 온갖 고통을 받는데, 뭐가 급하다고 천억 가까운 혈세를 퍼붓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직 인수위 때 대통령실 이전비를 축소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대통령실이 양치기 예산을 편성해 가뜩이나 민생고로 힘든 국민을 또 속였다”며 "대통령실 이전 비용 496억원은 새빨간 거짓말이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예결위 심사를 통해 예산을 전액 삭감하겠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이 당선자 시절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발표한 뒤 외빈 맞이 장소로 기존 청와대 영빈관 활용 방안을 밝힌 적이 있어 논란은 더 컸다. 당시 윤 대통령은 “(현재 영빈관을) 1년에 몇 번 안 쓴다고 하는데, 꼭 써야 하면 (청와대를) 개방하더라도 저녁에 국빈 만찬 같은 행사를 할 때 영빈관을 쓸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더욱이 대선 과정에서 폭로된 김건희 여사와 서울의소리 기자 녹취록에 김 여사가  “(영빈관을) 옮길거야”라고 발언한 부분과 관련해 여러 억측도 나돌았다. 녹취록에 따르면 서울의소리 기자가 “아는 무속인이 (검찰)총장님이 대통령이 되면 들어가자마자 영빈관을 옮겨야 한다고 하더라”라는 취지로 언급하자 김 여사는 “응 옮길거야”라고 말했다. 

예산까지 책정된 영빈관 건립을 전격 취소한 것은 이같은 거센 비난 여론과 야당의 강력한 반발에 억측까지 뒤엉키면서 논란이 크게 증폭될 조짐을 보이자 윤 대통령이 황급히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은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 드린 이후 대통령실의 자산이 아닌 국가의 미래 자산으로 국격에 걸맞는 행사 공간을 마련하고자 했으나, 이같은 취지를 충분히 설명드리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면서 "즉시 예산안을 거둬들여 국민께 심려를 끼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