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은 회수 못하는 '폐쇄형'…VIP는 만기 전 상환되는 '개방형'
환매 중단뒤 회수했으면, '직위 이용 손실 보전 의혹' 제기 가능성
김상조 "일일이 답변할 수 없는 상황임을 양해해달라"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했던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투자금 4억 여원중 상당부분을 회수한 것으로 11일 확인됐다. 김 전 실장이 돈을 돌려받은 시기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재직하던 시점이다. 청와대 정책실장은 금융·산업 등 경제, 일자리, 과학·기술, 사회 정책을 총괄하는 자리이다.
환매 중단 사태 이후 일반인 펀드 투자자들은 돈을 돌려받지 못했으며, 돌려받지 못한 금액은 2,562억원에 달한다.
뉴스버스가 정부공직자 재산내역과 변동 사항을 기재하고 있는 정부 전자관보를 확인한 결과, 김 전 실장은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재직 중이던 지난 2017년 7월 쯤 유안타증권을 통해 디스커버리 펀드에 4억여원을 투자했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가 운용해 온 사모펀드로, 투자 회사의 부실로 2019년 4월 12일 환매가 최종 중단된 뒤 공식적으로는 더이상의 환매가 없었다.
그런데, 관보에 따르면 당시 청와대 정책실장 자리에 있던 김 전 실장은 환매 중단 이후인 2020년에 2억 8,400여만원을 회수했다. 관보 기재상으로 2019년 말 기준 유안타증권 예금액 3억 8,300여만원이 2020년 말 기준 9,900만원으로 줄었다. 차액인 2억 8,400여만원을 돌려받았기 때문이다.
또 관보에 따르면 김 전 실장은 2019년에도 4,600여 만원을 돌려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매 중단 시점 이전인지, 이후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관보에 나타난 김 전 실장의 유안타증권 예금액은 2018년 말 기준 4억3,000만원이었는데, 2019년 말 기준 3억8,300여만원이었다. 유안타증권을 통해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했던 돈 가운데, 4,600여만원이 회수됐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검사국 관계자는 "디스커버리 펀드는 환매 중단 당시 모든 펀드를 환매 중단했다"며 "환매가 중단된 상황에서는 법적으로 펀드 자금에 손을 댈 수 없고, 손을 댄다면 펀드측이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처벌받게 된다"고 밝혔다. 한 회계사도 "환매 중단이 되면 투자된 돈은 움직일 수 없는 게 원칙"이라며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에서 결정이 나올 때까지는 펀드 판매사도 돈을 지급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 김상조 전 실장 펀드 투자금 회수 뭐가 문제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한 일반인들은 만기 전 돈을 돌려받을 수 없는 '폐쇄형 편드'에 투자한 반면, 김 전 실장 등 유력인사들 일부는 만기 전 입출금이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에 투자했다.
1. 환매 중단 뒤 돌려받았을 경우
공식적으로 펀드 환매가 중단되면 폐쇄형 또는 개방형 등 펀드 설정 형태와 관계 없이 투자자들은 돈을 돌려받을 수 없다.
김 전 실장이 환매가 중단된 디스커버리 펀드에서 돈을 돌려받았다면, 불법적으로 지급된 것이므로 디스커버리 펀드측이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처벌받게 된다.
만약 김 전 실장이 환매 중단 뒤 어떤 형태로든 돈을 회수했다면 투자자 신분이기 때문에 법적 처벌은 피할 수 있지만, 직위를 이용해 손실을 보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올 수 있다.
2. 환매중단 전 돌려받았을 경우
관보 기준으로 2018년 말까지 김 전 실장의 유안타증권 계좌에는 4억3,000만원이 있었다.
김 전 실장이 환매 중단 전 투자금을 전액 회수해 유안타증권 계좌에 보관하거나 다른 투자처에 투자했다면, 이는 2019년 1월부터 4월 사이에 일어난 일이다. 2019년 4월 12일 이후 디스커버리 펀드에서 환매가 된 사례는 없기 때문이다.
2019년 2월 미국에서는 디스커버리 펀드가 투자한 투자회사의 대출채권에 부실이 발생하면서 이미 환매가 중단된 상황이었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미국의 DL Global사(DLG)가 발행한 사모사채에 투자했는데, DLG는 이 돈을 다시 Direct Lending Investment(DLI)가 운영하는 'DLI 에셋 브라보'에 투자했다. 이 돈은 다시 해외 대출 플랫폼으로부터 대출채권을 매입하거나 대출 플랫폼이 설립한 SPC의 회사채를 매입하는 데 재투자됐다.
그러나 DLI의 투자자산 중 대출채권 25%에 부실이 발생하면서 지난 2019년 2월 11일 DLI는 투자자들에게 환매 유예조치를 공지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조사 과정에서 2019년 3월 18일 DLI 브렌든 로스 대표이사가 사임하기도 했다.
김 전 실장 등 유력인사들이 2019년 1~4월 사이 투자금을 회수했다면 디스커버리 펀드 부실을 미리 알고 자금을 회수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 전 실장 등 유력인사들 일부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에 투자한 상태였기 때문에 미리 알고 회수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한 일반인들은 만기 전 돈을 돌려받을 수 없는 '폐쇄형 편드'에 가입돼 있기 때문에 SEC 조사 진행 상황을 알았다고 하더라도 투자금을 회수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김 전 실장이 가입한 디스커버리 펀드 형태는 '개방형'으로 확인됐지만, 구체적인 약정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김 전 실장이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 중단 정보를 미리 알고 돈을 회수했다면 도덕적 해이에 대한 비판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앞서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한 김 전 실장 등 유력 인사들의 명단과 투자액수가 적힌 일명 'VIP 리스트'를 확보했다.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반론>
뉴스버스는 김 전 실장의 해명과 반론을 듣기 위해 전화를 했으나 전화를 받지 않았다.
이후 뉴스버스가 문자메시지로 "환매 중단된 뒤 돈을 회수 했느냐"는 등의 질문을 하자 김 전 실장은 "많은 기자분들이 연락을 주시는데 제가 일일이 대응 설명할 수 없는 상황임을 양해해주시기 바란다"고 답변했다. 김 전 실장은 "필요하면, 때가 되면,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죄송하다"고 말했다.
60억 펀드 투자 장하성 "펀드 환매 신청한 적 없다"
한편 디스커버리 펀드에 60억원 가량을 본인과 부인 이름으로 투자한 장하성 주중대사는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장 대사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재직 중이었던 지난 2017년 7월 유안타증권을 통해 자신의 명의로 44억9,600여만원, 부인 명의로 14억155만원을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했다. 장 대사는 본인 명의 펀드투자금만 유안타증권 계좌에서 2018년 8월 대신증권 계좌로 이관했다.
장 대사는 10일 밤 입장문을 통해 "2018년 8월 유안타증권 투자 상품의 만기로 인한 상환 금액 전액을 대신증권을 통해 동일 펀드에 재투자한 것"이라며 "계좌 이전에 따라 유안타증권 감소액에 상응하는 대신증권의 증가액이 2019년 재산 신고에 반영돼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