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토요일 밤 잠실선착장 인근서 멈춰서

김민석 총리 “노선 안전성 전면 재점검” 지시

16일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부근 강바닥에 걸려 멈춘 한강버스에서 관계자가 수심 확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6일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부근 강바닥에 걸려 멈춘 한강버스에서 관계자가 수심 확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한강버스 멈춤사고에 대해 16일 공식 사과하고 운항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점검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정부와 여권에선 한강버스의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함께 운항 중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시 이민경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15일 오후 8시 25분 잠실행 7항차 한강버스 102호가 잠실선착장 인근 118m 지점에서 일시 정지한 상황과 관련해 시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발생 즉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했고 그 과정에서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다.

시에 따르면 사고 직후 수난구조대·한강경찰대·한강본부 등 관련 기관에 즉시 신고해 구조정이 투입됐고 오후 9시 18분까지 승객 82명 전원을 잠실선착장으로 이송해 귀가 조치했다. 부상자는 없었으며 매뉴얼에 따라 현장 구조·대응 체계가 가동됐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시는 운전자의 항로 이탈이 이번 사고의 원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 현장 인근에는 수심이 얕은 지역이 있어 진입을 막는 부표가 설치됐지만 해당 선박은 이를 넘어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한강버스의 안전 문제를 염려해 현장 점검에 나선 바 있는 김민석 국무총리는 “행정안전부와 협조해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한강버스 선박, 선착장, 운항 노선의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라”며 “한강의 얕은 수심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과 대응 방안을 상세하게 분석해 조치하라”고 특별 지시를 내렸다.

김 총리는 특히 총리실을 통해 “선착장 위치 선정 및 운항 노선 결정 시 한강 지형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포함한 한강버스 운항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으며 이번 특별 지시에 ▲좌초, 침몰,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승객 안전 보장 대응체계 점검 ▲후속 조치 완료 후 일시 중단 기간 연장 검토 등의 내용을 포함시켰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서울시에 시민의 생명을 건 보여주기식 행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 산하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태스크포스(TF)’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시민의 안전 위에 보여주기 행정을 쌓아 올릴 때 어떤 위험이 발생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신호”라며 “수차례 경고에도 오 시장이 한강버스 사업을 중단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강버스는 오 시장이 추진하는 서울시 중점사업으로 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 7개 선착장을 오가는 수상 대중교통이다. 하지만 올해 9월 18일 개통 이후 모두 16건의 사고가 발생하며 안전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