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정국ㆍ권력공백기 틈타 12월 말 임명 결정
1,300억대 손실 프로젝트 책임자 부사장 영전
5년째 자본잠식인데…성과급도 300% 이상 챙겨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한국석유공사가 막대한 세금 손실을 안긴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인 곽원준 E&P/에너지사업본부장에게 부사장 직함을 부여하고 성과급까지 챙겨준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권향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석유공사로부터 받은 ‘상임이사 대외명칭 운용안’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지난해 12월 30일 상임이사직에 해당하는 기획재무본부장과 E&P/에너지사업본부장 자리에 대해 각각 CFO(최고재무관리자)와 CTO(최고기술관리자)의 직함을 주기로 하고 ‘부사장’ 명칭을 부여하기로 직제 규정을 개정했다. 이에 따라 최문규 기획재무본부장과 곽원준 E&P/에너지사업본부장이 각각 부사장 자리에 올랐다.
특히 석유공사의 이 직제 개정은 12·3 비상계엄으로 국회에서 대통령 윤석열에 대해 탄핵이 의결된 직후 권력 공백기와 내란으로 인한 혼란 상황을 틈타 이뤄진 것이다.
석유공사는 직제규정 개정과 관련해 “부기관장급 외부회의, 신사업 투자유치 및 정부·언론·국회 등 대외기관과의 원활한 업무 협력관계 형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곽 부사장은 최종 실패 결론이 난 동해 심해 유전 개발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였다는 점에서 논란이다.
실패한 프로젝트를 이끌고 석유공사에 막대한 손실을 안겨준 임원이 ‘신사업 투자유치 및 대외 협력관계 형성’을 위한 적임자인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앞서 그는 지난해 6월 동해 심해 유전 개발 사업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평가작업을 총괄했다”고 소개한 바 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윤석열의 '국정브리핑 1호' 발표에서 시작됐다.
그러나 탐사 결과 가스포화도가 경제성 판단 기준치(40%)에 한참 미달(6%)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2월 안덕근 당시 산업부 장관이 실패를 인정했고, 지난 21일 정부는 프로젝트의 실패를 선언했다.
프로젝트 추진과정에서는 탐사 및 시추비 약 1,263억원, 분석업체 엑트지오 용역비 약 41억원, 정밀 분석비 약 14억원 등 1,300억원을 웃도는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 2020년부터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완전 자본잠식’상태에 빠져 있고, 연간 약 4,000억원 수준의 이자를 부담하고 있는 석유공사 상황에선 '존폐'까지 좌우할 수 있는 막대한 손실이다.
실제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2024년 석유공사의 자산은 20조4,915억원으로 집계됐으나 부채 21조8,131억원으로 자본총계는 -1조3,216억원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석유공사는 ‘2024년도 조직 성과 평가’를 진행하며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동해탐사팀에 15점 만점 중 14.4점을 부여해 S등급을 줬다. 상위 부서인 E&P/에너지사업본부 국내사업개발처도 A등급을 받았으며 본부장인 곽 부사장에게는 300%를 웃도는 성과급이 산정됐다.
이와 관련 석유공사가 권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살펴보면 곽 부사장은 1급(수석위원) 직급이던 2024년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기본연봉월액의 373%(1,300여만원), 임금피크가 적용된 5월 1일부터 8월 18일까지는 330%(670여만원)의 성과급이 산정됐다.
이후 그는 은퇴 수순을 밟아야 할 시점이었지만 퇴직 직전 유례없이 상임이사로 임명되면서 8월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도 연봉의 32%(1,300여만원)의 성과상여금을 받았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