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문인력 구금 사태가 재발되면 안돼”

합리적인 관세협상·북미대화 재개 등도 논의

블랙록과 아태 지역 ‘한국 AI 수도’ MOU 체결

뉴욕 동포에겐 “자랑스런 한국 만들겠다” 약속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미 상원 외교위 및 하원 외무위 소속 의원 등을 접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미 상원 외교위 및 하원 외무위 소속 의원 등을 접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미 상·하원 의원들과 만나 조지아 구금사태 재발 방지를 당부하는 등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했다. 

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오후 뉴욕에서 미 상원 외교위 및 하원 외무위 소속 의원 4명을 만나 한미동맹 강화 및 경제협력과 한반도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날 만남에는 공화당 소속 영 김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 민주당 소속 진 섀힌 상원 외교위 간사, 역시 민주당 소속인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과 그레고리 믹스 하원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영 킴 미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영 킴 미 하원 외무위 동아태소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접견 자리에서 특히 이 대통령은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 전문인력 구금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으며 미 의원들은 비자 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을 표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자리에선 한국인 전문인력만을 대상으로 별도의 비자(E-4) 쿼터를 신설하는 '한국 동반자법'의 의회 통과 기대에 대한 이야기도 오갔다. 

또 이 대통령은 이날 한미 관세협상이 양측의 '상업적 합리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북미대화 재개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블랙록과 AI 산업 글로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WEF) 의장 겸 블랙록 회장,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블랙록과 AI 산업 글로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WEF) 의장 겸 블랙록 회장,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밖에도 이 대통령은 이날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인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 의장과도 회동했다. 

이 자리에선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AI(인공지능) 수도'가 될 수 있도록 대규모 투자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협력에 대한 논의가 오갔으며 실제 이날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블랙록은 AI 산업의 글로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와 관련 핑크 회장은 “한국이 아시아 지역의 'AI 수도'가 될 수 있도록 글로벌 자본을 연계해 적극적인 협력을 하겠다”는 뜻을 전했으며 이 대통령은 이에 화답하듯 핑크 회장을 한국으로 초대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김혜경 여사와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김혜경 여사와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울러 300여명의 뉴욕 동포가 참석한 간담회에선 “원래 조국이 해외에 나가 있는 국민을 걱정해야 하는데 재외국민이 대한민국을 걱정하는 일이 꽤 오랫동안 있었던 것 같다”며 “이제는 대한민국이 여러분을 생각하고 여러분을 걱정하겠다”고 위로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정상으로 돌아와 다시 도약할 때가 됐다”며 “대한민국 영토 내에서가 아니라 전 세계에 발 딛고 사는 재외국민이 대한민국 국민임을 자랑스럽게,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그런 대한민국을 꼭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의 7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대통령의 기조연설은 23일 밤늦게 또는 24일 새벽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의 민주주의 복귀’를 다시 한 번 선언하고 한반도 문제 등 정부의 외교 정책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