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의 시위속 경찰 에워싼 채 '전두환 옹호'발언 사과

尹 "민주·오월정신 세우겠다"…시민단체 "가짜 사과 필요 없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10일 오후 광주를 방문, 5.18민주묘지에서 참배하려했으나 시민들의 항의와 저지로, 추모탑 입구에서 묵념으로 대신했다. 

윤 후보는 이날 광주 5·18 국립민주묘지를 찾아 “제 발언으로 상처받은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전두환 옹호' 발언을 사과했다.  

윤 후보는 5·18 민주묘지 추모탑에 헌화‧분향할 예정이었으나, 오월 어머니회 등 광주지역시민단체의 항의와 저지로 추모탑에는 접근하지 못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광주 시민단체의 저지 시위로 광주 5.18민주묘지 추모탑에 접근하지 못하자, 추모탑 입구에서 고개숙여 묵념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광주 시민단체의 저지 시위로 광주 5.18민주묘지 추모탑에 접근하지 못하자, 추모탑 입구에서 고개숙여 묵념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 후보는 “저는 40여년 전 오월 광주 시민들이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위해 피와 눈물로 희생한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며 ‘전두환 옹호’ 발언을 사과했다.

윤 후보는 이어 “광주의 피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꽃피웠고, 이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는 오월 광주의 아들이고 딸”이라면서 “제가 대통령이 되면 국민통합을 이뤄내고, 여러분이 발전시킨 민주주의를 계승, 발전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방명록에 "민주와 인권의 오월정신 반듯이 세우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광주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방명록을 적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광주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방명록을 적고 있다. (사진=뉴스1)

앞서 윤 후보는 ‘전두환 옹호’ 발언을 비판하며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자, ‘유감 표명’을 한 뒤 당일 저녁 인스타그램에 ‘개 사과’ 사진을 올려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윤 후보는 시민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추모탑 입구에서 경찰에 둘러싸인 채 사과문을 읽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10일 오후 광주 시민들의 항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5.18민주묘지 추모탑 입구에서 경찰에 둘러싸여 사과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10일 오후 광주 시민들의 항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5.18민주묘지 추모탑 입구에서 경찰에 둘러싸여 사과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 후보 방문에 앞서 5·18묘역에는 9~10일 철야농성을 했던 지역 대학생 40여명이 모여 윤 후보의 참배를 저지하는 시위를 했다. 이들은 ‘윤두환(윤석열+전두환)은 물러가라 훌라훌라’가 적힌 대형 현수막을 들고 참배를 하기 위해 지나가야 하는 묘역 앞 계단 앞에 1차 저지선을 만들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를 막기 위해 10일 오후 오월어머니집 어머니들이 묘역내 민주항쟁탑 앞에서 ‘전두환 옹호’ 발언을 비판하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를 막기 위해 10일 오후 오월어머니집 어머니들이 묘역내 민주항쟁탑 앞에서 ‘전두환 옹호’ 발언을 비판하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오월 어머니회 관계자들 역시 묘역 내 민주항쟁의탑 앞에 2차 저지선을 만들고 우산 대신 ‘가짜 사과 필요없다’는 피켓을 들고 윤 후보의 참배를 막았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