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민주항쟁 38주년 기념식 '다시, 민주주의'

이재명 “6월 그날처럼 국민이 바로잡은 나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10일 서울 용산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개관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기념사를 대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10일 서울 용산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개관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기념사를 대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6·10 민주항쟁 38주년을 맞아 “계엄과 독재의 시대를 끝내고 다시 민주주의를 향해, 다시 국민이 주인인 진정한 민주공화국을 향해 함께 가자”고 강조했다. 

6·10 민주항쟁 38주년 기념식이 10일 오전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렸다. 이날 이 대통령의 기념사는 우상호 정무수석이 대독했다. 

이 대통령은 “두려움을 이겨내고 거리로 나선 위대한 국민 용기와 연대 위에서 진정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 시작됐다”며 “독재와 폭압에 굴하지 않은 국민이 계셨기에 우리는 대통령과 정부를 선택할 권리를 되찾았다”고 말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6월 항쟁과 지난해 겨울 계엄을 연결 지으며 “헌정질서가 파괴되고 민주주의가 무너지는 상황에서, 우리 국민께서는 1987년 6월 그날처럼, 너나 할 것 없이 뛰쳐나와 흔들리는 나라를 바로 잡아 주셨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우리가 지난해 겨울 아프게 배웠듯이 민주주의는 저절로 유지되거나, 완성된 채로 머물지 않는다”며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를 위해 실천하고 행동할 때만 우리의 민주주의는 유지되고 전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왼쪽부터), 우원식 국회의장, 우상호 정무수석, 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 씨가 10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을 마친 뒤 옛 남영동 대공분실(M2) 509호 박종철 조사실에서 헌화하고 있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왼쪽부터), 우원식 국회의장, 우상호 정무수석, 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 씨가 10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을 마친 뒤 옛 남영동 대공분실(M2) 509호 박종철 조사실에서 헌화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개관한 ‘민주화운동기념관’에 대해서도 “박종철 열사, 이한열 열사, 김근태 민청련 의장을 비롯해 독재에 맞서 싸운 수많은 민주열사들의 아픔이 서려 있는 이곳,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다시 태어났다”며 “민주화운동기념관은 단순한 기념시설이 아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살아있는 역사”라고 평했다. 

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구한 수많은 이들의 정신을 미래세대에게 전할 소중한 민주주의의 산실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 국민과 자유와 인권, 민주와 평화라는 보편적 가치를 찾는 세계인들에게도 K-민주주의를 보여주는 상징적 공간으로 우뚝 서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서로 다른 의견과 가치가 존중받고 다양성이 조화를 이루는 사회에서 민주주의는 더욱 건강하고 튼튼해질 수 있다”라며 “1987년 6월의 정신과 2025년의 용기를 품고 함께 다짐하자.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이 되는 나라, 진정한 국민 주권 국가,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 

한편 옛 남영동 대공분실은 이날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새롭게 개관했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경찰청 보안수사대의 대공업무를 위한 시설로 지어져 1970~80년대 수많은 민주화운동가들 이곳에서 고문을 당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