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향해 노동계 여성계 등 비판 잇따라
진보당 "명백한 노동·여성·학력 차별혐오 발언"
한국노총·민주노총 "내재한 엘리트 의식의 발로"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는 30일 유시민 작가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배우자 설난영 여사에 대해 “(공장 노동자 출신이) 감당할 수 없는 자리에 올라 제정신이 아니다”고 한 발언을 두고 "노동자에 대한 멸시와 엘리트주의"라고 비판했다.
권 후보는 이날 성명을 내고 "노동자들을 무지한 존재, 열등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음을 느낄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작가는 지난 28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 출연해 “설난영은 부품회사 세진전자 노동조합 위원장이었고 김문수 후보는 한일도루코 노조위원장이었다. 대학생 출신 노동자가 ‘찐 노동자’하고 혼인한 것”이라며 “설씨 생각에는 나와 균형이 안 맞을 정도로 (김 후보가) 대단한 사람”이라고 했다.
유 작가는 이어 “그런 남자와의 혼인을 통해 내가 조금 더 고양되었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는 남편에 대해 비판적으로 볼 수 없다”면서 “(도지사의 아내, 대통령 후보의 아내 등) 감당할 수 없는 자리에 올라 제정신이 아니다”라고 했다. 또 유 작가는 "유력한 정당의 대통령 후보 배우자라는 자리가 설난영씨의 인생에서는 갈 수가 없는 자리다. 그러니까 '제정신이 아니다' 그런 뜻"이라고 덧붙였다.
권 후보는 유 작가의 이런 발언에 대해 "유시민 씨에게 여성을 노동운동의 조연으로 치부할 자격은 없다. 이는 여성을 주체적이지 않고 판단 능력조차 없는 존재로 조롱하는 것일 뿐"이라며 "이는 설난영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여성 일반에 대한 힐난이고 여성혐오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사회의 노동인권은 '대학 못 간, 여성, 노동자'들이 투쟁해 쟁취해온 것"이라며 "반면 서울대 나온 엘리트 남성들은 사회를 망쳐온 것에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시민씨가 자신의 실언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길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진보당, 노동계, 여성계 등도 ‘차별 발언'이라고 지적하고 유 작가의 사과를 요구했다.
홍성규 진보당 수석대변인 역시 이날 “명백한 노동·여성·학력 차별혐오 발언”이라며 “참담한 엘리트 우월의식에 사로잡혀 ‘발이 공중에 떠 있는 사람’이야말로 유시민 본인”이라고 비판했다.
한국노총은 논평을 통해 "명백한 계급적·성차별적 발언으로, 내재한 엘리트 의식의 발로"라며 "대통령 후보 배우자의 자리가 무겁고 높은 자리인 건 맞지만 그것이 곧 전자부품회사 노조위원장 출신이 감당할 수 없는 자리라고 판단하는 것도 편협한 비하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 김대중 대통령이나 노무현 대통령을 고졸 출신 대통령이라고 조롱했던 이들과 다를 게 무엇인가"라고 물으며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도 논평에서 "유 작가는 설난영 씨에 대해 학벌 낮은 여성 노동자가 남편을 잘 만나 신분 상승한 도취감에 취해 있다고 평가했다"며 "이 발언은 여성과 노동자에 대한 비하이며 학력에 대한 차별"이라고 말했다.
또 "설난영 씨를 비판한다고 생각했을지 모르겠으나 실제로는 여성, 노동자, 학력에 대한 자신의 차별적인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며 유 작가와 이를 방송한 '김어준의 다스뵈이다'는 사과하고 방송 중 해당 부분을 삭제하라고 요구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