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민 '내란 주범 물러가라' 반발…한덕수 발길 돌려

광주 시민사회 "한덕수, 내란 수괴 파면 막으려 헌법 유린"

민주당 광주시당도 한덕수 대선출마·광주 방문 규탄 성명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앞에서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단체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참배를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사진=연합뉴스)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앞에서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단체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참배를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사진=연합뉴스)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첫날 일정으로 잡은  광주 국립5·18 민주묘지 참배가 시민단체에 의해 가로막혔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후 5시 35분쯤 5·18 민주묘지에 도착해 지지자 100여명의 연호를 받으며 민주묘지로 향했다. 그러자  광주시민들은 민주묘지 초입인 '민주의 문' 앞에 몰려들어 '오월영령 능욕하는 내란주범 한덕수는 물러가라'는 현수막을 앞에 들고 "한덕수는 물러가라" "5·18 참배 자격 없다"고 외쳤다. 

민주묘지로 들어가지 못한 한 전 총리는 민주의 문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인 채 묵념하며 참배를 대신했다.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ㆍ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혀 발길을 돌리고 있다.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ㆍ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혀 발길을 돌리고 있다. 

한 전 총리는 묵념 이후에도 시민단체의 반발이 계속되자 "여러분 조용히 해주세요!"를 여러번 외친 뒤 "저도 호남사람입니다! 우리는 통합돼야 하며 서로를 사랑해야 합니다. 서로 사랑하고 아껴야됩니다”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가뜩이나 정권에 맞춰 고향을 선택했다는  '고향 세탁' 논란까지 있는 한 전 총리의 뜬금없는 '호남사람 통합' 호소가 먹혀들리 없었고, 입구도 열리지 않았다. 결국 한 전 총리는 발길을 돌려야 했다. 

한 전 총리 도착에 앞서 이날 광주 지역 시민 단체로 구성된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은 5·18 민주묘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참배는 민주주의에 대한 능욕이다"고 비판했다. 광주비상행동은 "내란에 가담한 한 전 총리는 '민주주의 가치를 되새기고 민주주의 정신 계승과 국민대통합' 메시지를 발표한다며 떠벌리고 있다"며 "그는 내란 수괴 파면을 막고자 헌법을 유린한 사람이다"고 지적했다.

또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행위는 내란 세력의 재집권을 위한 것일 뿐"이라며 "5·18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려는 한 총리의 참배를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도 이날 성명을 내 "광주는 결코 반민주·반헌법 세력의 면죄부를 주는 장소가 아니다"며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를 강력히 규탄하고,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한 광주의 역사를 폄훼하고 이용하려는 어떠한 정치적 행보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ㆍ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히자 손마이크를 한 뒤 '여러분 조용히 해주세요.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ㆍ18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히자 손마이크를 한 뒤 '여러분 조용히 해주세요.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라고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