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재학의 경제이슈 분석]
글로벌 IB 금시세 전망...”내년에도 금값 10% 이상 더 오른다”
2030 ‘금테크’ 눈길…골드바·ETF∙골드뱅킹 등 투자 방식 다양
금테크 단기 투자는 금물…자산 배분 차원에서 ‘멀리 보고 차곡차곡’
금과 미국 국채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힌다. 그런데 미국 연준이 내년에도 정책금리를 지속적으로 인하할 계획인 만큼 미 국채금리는 하락할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금이 내년에도 미 국채보다 더 매력적인 안전자산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요 기관의 내년 국제 금 가격 전망]
골드만삭스 : 2025년 초 온스 당 2,700달러 → 2,900달러 상향
런던금시장연합회(LBMA) : 2025년 10월 지금(2,750달러)보다 약 10% 상승
시티리서치 : 6~12개월 후 온스 당 2,700달러 → 3,000달러 상향
골드만삭스는 2개월 뒤인 내년 초 금 가격 전망치를 기존 2,700달러에서 2,9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전 세계적인 금리 하락, 구조적으로 높아진 각국 중앙은행의 금 수요,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경기침체 위험에 대한 금의 헷지(위험회피) 성격 등이 금 가격에 점진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세계 금 시장을 주도하는 런던금시장연합회(LBMA)는 1년 뒤인 내년 10월 말 금 가격이 지금보다 10%가량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시티리서치 역시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6~12개월 후 금값 전망치로 온스당 3,000달러를 제시했다.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은 금값이 내년 1분기 온스당 2,900달러로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 골드바 구입하거나 ETF 등 금 관련 금융상품에 투자 가능
금테크 방식은 다양하다. 골드바같은 실물 금 매입은 물론 금 ETF 등 관련 금융상품에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 금값이 꾸준히 오르면서 20·30세대의 금 투자도 늘고 있다. 금은방 고객 10명 중 3~4명은 투자 목적인데, 최근 젊은 세대 비중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안전한 투자 상품이면서 장기적으로 꾸준히 오를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① 실물 금 구입: 초기비용 많이 들어 절세를 노리는 자산가들 선호
금은방이나 은행, 한국금거래소에서 금괴(골드바)를 직접 구입하는 전통적인 금테크 방식이다. 골드바는 10g·100g·1㎏ 등의 단위로 살 수 있다. 다만, 금 실물을 구매할 때는 10% 부가가치세와 5% 거래수수료를 감안해야 한다. 만일 금값이 15% 이상 오르지 않으면 수익을 내기 힘들다는 얘기다. 금을 안전하게 보관하려면 도난 방지용 금고도 필요하다. 초기 비용이 많이 들지만 부동산이나 금융자산과 달리 추적이 어렵기 때문에 상속이나 증여를 고려하는 자산가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② 금 통장(골드뱅킹) : 소액∙적립식 투자…현금∙실물 금으로 찾을 수 있어
은행에서 ‘골드뱅킹’을 개설해 금을 사고파는 방식이다. 0.01g 단위의 소액 매입은 물론 자동이체를 이용한 적립식 투자도 가능하다. 실물 금을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현금으로 출금하거나 모은 금을 실물로도 찾을 수 있다. 다만, 금을 사고팔 때 각각 1%씩 수수료가 붙고, 출금할 때 매매차익에 대해 15.4% 배당소득세를 내야 한다. 또 수익이 2,000만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 과세 대상에 포함된다. 안정성이 높은 반면,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③ 금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15.4% 배당소득세 부과
대표적인 금 관련 금융 투자 상품이다. 주식 거래처럼 증권 계좌만 있으면 금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ETF를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다. 금 시세에 연동돼 수익률이 결정되며, 실물 금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 금융 상품과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따른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된다.
④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별도 계좌 개설…비용과 수익률면에서 가장 유리
국내 13개 증권사를 통해 금현물 계좌를 만든 뒤 주식처럼 투자하면 된다. 가장 큰 장점은 세제 혜택이다. 양도소득세·부가가치세·배당소득세 등 비과세가 적용되며, 증권사 거래수수료도 골드뱅킹보다 낮은 0.2~0.3% 수준이다. 1g 단위 소액 투자도 가능하다. 금을 100g 이상 모으면 골드바 형태 현물로도 찾을 수 있는데, 이때 10%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별도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비용과 수익률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금이 안전자산이긴 하지만 다양한 자산운용 수단 중 하나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금 역시 다른 자산과 마찬가지로 변동성이 있으니 자산 배분 원칙을 지키며 ‘멀리 보고 차곡차곡’ 쌓아가는 투자 방식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
고재학은 한국일보에서 33년간 기자로 일하며 경제부장, 논설위원, 편집국장 등을 지냈다. 올해 6월 뉴스버스 공동대표로 합류해 경제 부문을 맡고 있다. 뉴스버스TV에서 주요 경제 이슈를 정리해주는 ‘고재학의 경제버스’를 진행한다. 스테디셀러 <부모라면 유대인처럼>을 비롯해 <절벽사회> <휴대폰에 빠진 내 아이 구하기> 등의 책을 썼다. 우직하게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힘을 믿는 언론인이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