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킷브레이커 4년5개월 만에 발동…삼성전자 10%대 급락

‘블랙먼데이’ 금융당국, 긴급 시장점검 “면밀히 모니터링”

5일 코스피지수는 전장 대비 234.64포인트(8.77%) 내린 2,441.55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88.05p(11.30%) 폭락한 691.28로 마감했다. 사진은 이날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모습. (사진=연합뉴스)
5일 코스피지수는 전장 대비 234.64포인트(8.77%) 내린 2,441.55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88.05p(11.30%) 폭락한 691.28로 마감했다. 사진은 이날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 증시 최악의 날이었다. 5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양대 지수가 모두 폭락했다.

코스피지수는 234.64포인트(8.77%) 내린 2441.55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가 하루 200포인트 넘게 떨어진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날에만 시가총액 192조원이 증발했다. 코스닥지수는 88.05포인트(11.30%) 폭락한 691.28로 마감했다.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8,200원(10.3%) 급락한 7만1,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로 장중 6% 하락했던 이후 4년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이다.

이외에도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 기아(-10.08%), SK하이닉스(-9.87%), 현대차(-8.20%), KB금융(-7.69%), 신한지주(-7.53%), 셀트리온(-5.73%), LG에너지솔루션(-4.17%), 삼성바이오로직스(-2.31%) 등이 줄줄이 하락했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오후 2시14분 코스피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8.10%(216.97포인트) 하락한 2676.19를 기록하자 20분간 서킷브레이커(매매 일시 중단)를 발동했다. 가장 최근에 유가증권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을 때는 코로나 팬데믹이 뒤덮었던 2020년 3월13일과 3월19일이며, 이번이 역대 6번째 발동이다.

앞서 코스닥시장에서도 이날 오후 1시56분 코스닥지수가 8% 넘게 1분 이상 급락하면서 1단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역시 코로나 때인 2020년 3월13일과 3월19일 이후 처음이며, 역대로는 10번째 발동이다. 

한국거래소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고, 대형 기술주 실적 부진과 엔캐리 자금 유출 우려가 겹치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이날 오후 주식 시장 변동성 관련 긴급 시장점검회의를 열고 "과도한 불안심리 확산이나 쏠림현상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