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기자단 "대통령실 특혜 베푸는 듯 접근 동의못해"

MBC "군사독재 정권 때도 볼 수 없었던 전대미문의 일"

한국기자협회 등 "시대착오적 인식에 경악" "비판 언론 보복"

尹 "세금 쓰는 순방 국익 걸렸다"…MBC 전용기 배제 재확인

(사진=뉴스1)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간사 등 민주당 측 위원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통령실의 MBC 전용기 탑승 불허 통보 관련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MBC와 정치권, 언론단체들에서도 이날 대통령실의 'MBC 취재진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 방침에 대해 "언론 탄압", "독재정권 시절의 언론관"이라고 비판하는 성명이 잇따랐다.

MBC는 “군사독재 시대에도 찾아볼 수 없었던 전대미문의 일”이라며 “비판 언론에 대한 보복이자 새로운 형태의 언론탄압”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과방위 소속 의원들은 "국민 세금으로 가는 해외 출장인데, 대통령이 듣기 싫은 소리 했다고 마음대로 특정 언론사를 배제하면 안된다"며 "이런 게 치졸한 언론 탄압이고, 그래서 불통 대통령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등 8개 언론단체도 이날 긴급 공동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은 반헌법적 언론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며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개인 윤석열의 사유재산 이용에 시혜를 베푸는 것으로 착각하는 대통령실의 시대착오적 인식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출입기자단은 이날 입장문에서 "출입기자단이 대통령 전용기에 동승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취재 때문이며, 관련 비용 역시 각 언론사가 전액 부담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대통령실이 마치 특혜를 베푸는 듯 ‘취재 편의 제공’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출입기자단은 또 "특정 언론사의 전용기 탑승을 배제하는 일방적 조치로 전체 출입기자단에 큰 혼란을 초래한 데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덧붙였다.

한겨레와 경향신문 취재진은 대통령실의 방침에 반발해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거부하고, 민항기를 이용해 순방 현지로 자체 이동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도 성명에서 “명백한 언론자유 침해이자 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에 대한 보복적 탄압”이라며 “헌법상 가치로 보장된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반민주적 폭거”라고 비판했다.

국내 언론 뿐만 아니라 외신도 언론사를 콕 집어 제한조치를 내린 대통령실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외신기자클럽 이사회도 성명을 통해 "'왜곡'으로 간주한 보도를 이유로 해당 매체에 제한조치를 내린 것은 내·외신 모든 언론의 자유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도 대통령 전용기에 MBC 취재진 탑승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재차 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이 많은 국민의 세금을 써가면서 해외 순방을 하는 것은 중요한 국익이 걸려있기 때문이고, 기자 여러분들에게도 외교·안보 이슈에 관해 취재 편의를 제공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국익을 이유로 MBC의 전용기 탑승을 불허했다는 취지다.

전날 대통령실은 MBC 출입 기자에게 "MBC의 외교 관련 왜곡·편파 보도가 반복돼 온 점을 고려해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고 통보했다. 윤 대통령의 11~16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순방 때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을 허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MBC는 지난 9월 윤 대통령이 지난 미국 순방 과정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고 나오면서 “국회 이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은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발언을 했다고 처음 보도했다. 이에 대해 당시 대통령실은 ‘바이든’이 아니라 ‘날리면’이라고 주장한 뒤, ‘자막 조작’ '동맹 훼손'이라고 공격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