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인사 번복 때 실세 개입…비선실세인지 밝혀야"

윤석열 대통령이 경찰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과 관련해 "아주 중대한 국기문란, 아니면 어이없는 공무원으로서 할 수 없는 과오"라며 경찰의 잘못을 주장했다. 그러나 경찰과 행정안전부는 서로에게 책임을 미루는 등 여전히 입장이 엇갈렸다. 민주당은 "인사가 번복될 때 뭔가 개입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윤 대통령은 23일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면서 "아직 대통령 재가도 나지 않고 행정안전부에서 또 검토해서 대통령에게 의견도 내지 않은 상태에서 그런 인사가 밖으로 유출되고, 이것이 또 언론에 마치 인사가 번복된 것처럼 나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경찰에서 행안부로 자체적으로 추천한 인사를 그냥 보직을 해버린 것"이라며 "말이 안 되는 것이고 이것은 어떻게 보면 국기문란일 수도 있다. 인사권자는 대통령"이라고 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주장과 달리 치안감 인사 번복 경위에 대해서 윤 대통령과 행안부, 경찰의 주장이 모두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은 21일 "행안부 치안정책관실에서 최종안이 아닌 안을 메일로 보냈다"고 해명했다가 "행안부가 협의중이던 안을 최종안으로 잘못 보냈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21일 오후 6시 15분 행안부로부터 인사안을 받았고, 오후 8시 38분경 수정안을 받았다. 경찰은 오후 9시 34분에 7명의 치안감 보직이 바뀐 인사안을 수정해 공지했다.

행안부는 22일 "이번 사안은 중간 검토단계의 인사자료가 외부에 미리 공지돼 발생한 혼선"이라며 "인사권자의 결재 전 경찰청 내부망과 기자실에 공지된 자료에 오류가 있음이 발견돼 경찰청에서 이를 바로잡은 것"이라는 해명자료를 냈다.

행안부 발표에 대해 경찰은 "결재가 나기 전에 공지한 건 맞고, 결재만 안 됐을뿐 내부적으로는 조율된 안"이라며 "그동안 (관행적으로 결재 전 발표)해왔던 건데 앞으로는 결재가 나면 공지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3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을 방문했다. (사진=뉴스1)
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3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을 방문했다. (사진=뉴스1)

전반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23일 경찰청을 찾아 김창룡 경찰청장 등 지휘부를 면담했다. 면담 전 경찰 출신 임호선 의원은 "행안부 장관이 치안정감들을 법적 근거도 없이 면접을 보더니, 치안감 인사를 2시간 만에 번복해 경찰청장의 추천권을 사실상 무력화하고 인사 참사를 벌였다"고 지적했다.

면담을 마친 후 이해식 의원은 "경무관급 인사에 대한 내정안을 발표했다는 건 경찰청장 추천을 통해 행안부와 대통령실 협의가 있었다는 것"이라며 "그렇게 발표했는데 2시간 후 번복됐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걸 윤석열 대통령이 국기문란이다 혹은 공무원의 중대한 과오라고 했는데 저희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인사 번복될 때 뭔가 개입이 있었다"며 "저희가 볼 땐 실세 개입이다. 이게 비선 실세이냐를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