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金, 20~21일 친서 교환…文대통령 "대화 재개는 다음 정부의 몫"

김정은 "역사적 합의와 선언, 지울 수 없는 성과…퇴임 후에도 존경하겠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9월 19일 밤 평양 5.1경기장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경축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빛나는 조국' 관람을 마친 뒤 공연장을 나서고 있다. (사진=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9월 19일 밤 평양 5.1경기장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경축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빛나는 조국' 관람을 마친 뒤 공연장을 나서고 있다. (사진=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주고받았다. 문 대통령은 "대화로 대결의 시대를 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주고받은 친서의 내용을 공개했다.

문 대통령은 20일 보낸 친서에서 남북대화가 희망한 데까지 이르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을 밝히며 "아쉬운 순간들과 벅찬 기억이 교차하지만 김 위원장과 손을 잡고 한반도 운명을 바꿀 확실한 한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북미대화가 조속히 재개되길 희망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화 재개는 다음 정부의 몫이 됐다"며 "김 위원장도 한반도 평화의 대의를 갖고 남북대화에 임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선언, 평양 9·19 선언 등이 통일의 밑거름이 돼야 한다"며 "평화의 동력이 되살아날 것을 믿고 기다리겠다. 평범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지만 마음은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1일 답신을 보내 "희망한 곳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역사적 합의와 선언을 내놨다"며 "이는 지울 수 없는 성과"라고 했다.

그러면서 "아쉬운 점이 많지만 이제껏 기울여온 노력을 바탕으로 남과 북이 정성을 쏟으면 얼마든지 남북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 변함없는 생각"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마지막까지 민족의 대의를 위해 애쓴 문 대통령의 수고를 높이 평가하고 경의를 표한다"며 "잊지 않겠다. 퇴임 후에도 변함없이 존경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