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비상계엄 직후 이상민에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이상민, 소방청장에 "경찰 요청오면 조치"
윤석열, 비상계엄 이후 조치사항 국무위원별로 문건 준비
尹, 계엄 이틀전 국회·선관위 투입 병력 보고 받고 "그 정도면 되겠네"
윤석열이 '12·3 비상계엄' 선포 전후 이상민 행안부 장관에게 언론사들을 봉쇄하고 단전·단수하라는 지시를 문건으로 건네면서 직접 지시한 정황이 새로 드러났다. 또 윤석열이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무위원별로 취해야 할 조치 사항들을 담긴 문건을 작성해 준비했던 정황도 밝혀졌다. 검찰은 이 같은 사실을 지난달 26일 윤석열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기소하면서 공소장에 담았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윤석열로부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받은 문서에는 쪽번호 ‘8’이 적혀 있었던 점으로 미뤄, 최 대행과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외에도 문건을 추가로 건네 받은 국무위원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검찰이든 경찰이든, 추후 내란 특검이든 내란 가담 국무위원을 반드시 규명해야 할 상황이다.
법무부가 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윤석열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공소장에 따르면 윤석열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대통령 집무실로 들어온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비상계엄 선포 이후의 조치사항이 담긴 문건을 보여줬다.
문건에는 '24:00경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 단수를 하라'는 내용이 적혔다.
윤석열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함께 소집 연락을 받고 대통령실로 모이는 국무위원들에게 나눠주려고 계엄 선포 시 각 부처 장관인 국무위원들이 취해야 하는 조치사항들을 미리 문서로 작성·출력해 둔 것으로 조사됐다.
비상계엄 선포를 전후해 윤석열로부터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를 받은 이 전 장관은 포고령 발령 직후인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 34분쯤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화해 경찰의 조치 상황 등을 확인했다.
3분 뒤엔 허석곤 소방청장에게 전화해 "24:00경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에 경찰이 투입될 것인데 경찰청에서 단전, 단수 협조 요청이 오면 조치해 줘라"고 지시했고, 이는 이영팔 소방청 차장에게 전달됐다.
이 차장은 황기석 서울소방재난본부장에게 전화해 경찰청에 잘 협력해주라고 반복해 요청했고, 허 청장도 황 본부장에게 재차 전화해 경찰청으로부터 협조 요청을 받은 사실이 있는지 확인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검찰은 이 전 장관, 허 청장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 뒤 이런 정황을 확인했다.
하지만 이 전 장관은 지난달 22일 국회의 '내란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관련 질문에 "증언하지 않겠다"며 답변을 거부했고, 지난해 12월 16일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조사 때는 이 부분을 빼고 허 청장 등에게 “따로 지시를 내린 건 없다”는 취지로 진술하는 등 거짓말을 했다.
계엄 선포 이틀 전 윤석열이 김 전 장관과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할 병력 규모를 논의한 정황도 새로 드러났다.
윤석열은 지난해 12월 1일 "지금 만약 비상계엄을 하게 되면 병력 동원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고 물었고, 김 전 장관은 "수도권에 있는 부대들에서 약 2∼3만명 정도 동원돼야 할 것인데, 소수만 출동한다면 특전사와 수방사 3,000~5,0000명 정도가 가능하다"고 보고했다.
이에 윤서열은 경찰력을 우선 배치하고 군은 간부 위주로 투입하는 방법을 얘기하면서 다시 "간부 위주로 투입하면 인원이 얼마나 되냐"고 물었고, 김 전 장관은 수방사 2개 대대 및 특전사 2개 여단 등 약 1,000명 미만이라고 보고했다.
그러자 윤석열은 "그 정도 병력이라면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하면 되겠네"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김 전 장관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에서 윤석열이 비상계엄에 250명가량의 소수 병력만 투입하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한 것과는 배치되는 대목이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