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계엄 3시간 전 조지호·김봉식 경찰 1,2인자 안가로 불러 지시

14일 본회의서 2차 탄핵안 상정…국힘 탄핵 방어선 붕괴될 듯

버티는 윤석열, '사퇴 대신 탄핵' 선택…14일 이전 입장 표명 가능성

11일 오후 제주시청 민원실 앞 도로에서 열린 집회에 나온 시민들이 윤석열 즉각 퇴진 을 요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1일 오후 제주시청 민원실 앞 도로에서 열린 집회에 나온 시민들이 윤석열 즉각 퇴진 을 요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석열이 12.3 내란을 직접 총괄 지휘한 두 번째 명백한 정황이 드러났다. 윤석열이 12.3 내란 사태 당시 비상계엄 선포 3시간여 전인 저녁 7시쯤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을 서울 삼청동 안가로 불러 계엄 대응을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리에는 전 국방부 장관 김용현도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윤석열은 비상계엄시 장악해야 할 기관과 체포 대상 명단 등 계엄 대응 지시사항이 담긴 문건 1장을 조 청장 등에게 건넨 것으로 파악됐다. 장악 대상 기관은 10곳으로 지난 10일 국회 국방위에서 군 관계 증언을 통해 드러난 6곳(국회, 민주당사, 선관위 3곳, 여론조사업체 여론조사 꽃)에 MBC 등이 추가돼 있었다. 

이후 비상계엄 선포 뒤 윤석열은 3일 밤 11시 37분쯤부터 조 청장에게 직접 6차례 전화를 걸어 정치인 체포를 지시했고, 여인형 방첩사령관도 국회 봉쇄와 정치인 체포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조 청장 등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11일 새벽 3시50분쯤 조 청장과 김 청장 등을 긴급체포해 경찰서 유치장에 수감했다. 조 청장은 경찰 조사과정에서 “집으로 돌아와 아내와 상의한 뒤 지시 사항이 담긴 문건을 찢어버렸고, 윤석열의 지시와 여 사령관의 요청을 따르지 않고 국회 봉쇄만 소극 대응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조 청장은 긴급 현안 질의에서 계엄 3시간 전 윤석열과 만난 사실을 숨긴 채, “비상 계엄 사실을 언론 보도를 통해 알았다”고 거짓말을 했다.

조 청장과 김 서울경찰청장은 비상계엄 선포 뒤 경찰력으로 국회 출입문을 봉쇄 통제하는 등 국회의원들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를 막으려한 혐의로 긴급 체포됐으나, 경찰 조사가 진행되면 내란 공범 혐의가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윤석열의 조 청장에 대한 ‘정치인 체포와 기관 장악’ 지시는 윤석열이 12.3 내란 사태를 직접 총괄 지휘했음을 보여주는 두 번째 증거다. 앞서 지난 10일 국회 국방위에서 곽종근 특전사령관은 ‘윤석열 내란’ 당시 윤석열이 직접 비화폰으로 전화를 해와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졌으니, 문을 부수고 들어가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

무너지는 국민의힘의 탄핵 방탄 저지선

이처럼 윤석열이 내란을 직접 지휘한 명백한 정황과 물증들이 속속 드러나자,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탄핵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는 의원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 7일 탄핵안 의결에 참석했던, 안철수 김예지 김상욱 의원 3명에 조경태 김재섭 의원이 ‘찬성파’로 가세해 5명으로 늘어났다. 김재섭 의원은 11일 기자회견에서 “가장 질서있는 퇴진은 탄핵이다”라면서 “당론으로 탄핵을 찬성하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2차 윤석열 탄핵 소추안을 12일 발의하고 14일 오후 5시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하기로 했다. 현재까지 5명만 공개적으로 입장을 표명한 상태지만, 14일 본회의 표결에 참석 의사를 밝힌 국민의힘 의원들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김용현 구속과 조지호 경찰청장의 진술 등 윤석열의 총괄 지휘 정황이 공개된 데다, 민심이 끓어오르는 상황이라 국민의힘 지역구 의원들이 더 이상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윤석열 2선 후퇴’와 ‘질서있는 퇴진’ 등을 언급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탄핵 불가피’로 입장을 바꾸는 건 시간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즉각 사퇴’ 대신 ‘탄핵하라'

윤석열은 ‘즉각 사퇴’보다는 차라리 탄핵을 당해 헌법재판소에서 ‘비상 계엄’의 정당성을 법적으로 다투겠다는 입장을 여당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언론에서 윤석열이 ‘하야’가 아니라 ‘탄핵’을 선택했다는 윤석열의 거취와 관련한 보도가 나오고 있으나 대통령실은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또 법조계에서는 윤석열이 대검 중앙수사부 과장 시절 대검 중수부장이던 검사 선배 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을 중심으로 변호인단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2일 국회에서 2차 탄핵안이 발의되고, 국민의힘 의원들 가운데 8명 이상이 탄핵 찬성으로 기울어 14일 본회의에서 탄핵 가능성이 확실시되면 윤석열이 “탄핵시키라”는 입장 표명에 나설 공산이 크다. 직접 얼굴을 드러낼지, 공지문을 통한 입장 표명일지는 모르겠으나 14일 본회의 전 윤석열이 입장을 낼 가능성이 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