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24일 뉴스버스 픽 경제뉴스]
코인, 10억 이상 고액 계좌 3,400여개… `큰손`은 4050
50억 이상 '그사세 아파트' 올해만 247채 팔렸다
2년 만에 올랐다…서울 오피스텔 매매가도 ‘들썩’
1. 2072년 한국 고령인구〉생산연령인구…”사회 시스템 붕괴 우려”
저출산 고령화 여파로 2072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전체의 47.7%로 절반에 육박할 전망이다. 홍콩(58.5%), 푸에르토리코(50.8%)에 이어 세 번째다. 이들 도시·섬 국가를 제외한 인구 1,000만명 이상 93개국 중 가장 ‘늙은 나라’가 된다는 의미다. 전 국민을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중위연령’은 올해 46.1세에서 2072년 63.4세가 된다. 같은 기간 세계 인구의 중위연령은 30.6세에서 39.2세로 오르는 데 그친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 구성비는 올해 19.2%에서 2072년 47.7%로 확대된다. 237개 조사 대상 국가(지역) 중 세 번째다. 통계청은 “소규모 도시·섬 국가인 홍콩과 푸에르토리코를 제외하면 2072년 한국의 고령자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가임기 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앞으로도 바닥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한국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도시국가인 마카오(0.66명), 홍콩(0.72명)을 제외하면 꼴찌다. 2072년 합계출산율은 조금 반등해 1.08명으로 예측됐지만, 여전히 마카오(1.04명) 다음으로 낮다. 인구 1,000명도 되지 않는 ‘가톨릭 본산’ 바티칸(0.98명)까지 포함하면 뒤에서 세 번째다.
세계 인구는 올해 81억6,000만명에서 2072년 102억2,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인구는 5,200만명에서 3,600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세계 인구가 25.2% 증가할 때 한국 인구는 30.8% 줄어드는 셈이다.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보다 많아지면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도 크게 뛴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2072년 45.8%로 고령인구 구성비(47.7%)보다 낮아진다. 홍콩과 마카오, 푸에르토리코를 제외하면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보다 많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그 결과 노년부양비는 올해 27.4명에서 2072년 104.2명으로 3.8배 늘어난다. 전문가들은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보다 많아지면 생산, 소비, 제도를 비롯해 사회 시스템 전반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2. 가상자산 10억 이상 투자자 중 50대 평균 투자액 148억원
국내 1, 2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 개설된 계좌 가운데 1억원 이상 가상자산을 보유한 계좌는 전체의 1%에 불과하지만, 이들이 전체 투자액의 70%나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억원 이상 고액 계좌 3,400여개의 평균 투자액은 94억5,000만원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이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와 빗썸에 개설된 1,669만개 계좌 중 실제 투자가 이뤄지는 활성 계좌는 770만개였다. 이들 계좌의 평균 보유액은 893만원으로 시가총액으로 환산하면 68조8,000억원 규모다.
투자 규모별로는 전체 계좌의 92%가 1,000만원 이하였고 평균 투자액은 65만원이었다. 반면 10억원 이상 고액 계좌 3,400여개의 총투자액은 32조1,279억원, 계좌당 평균 보유액은 94억5,000만원이었다. 전체 계좌의 0.04%에 불과한 이들이 전체 투자액의 47%를 보유한 셈이다.
10억원 이상 고액 계좌의 경우 40대가 가장 많았고 평균 보유 규모는 50대가 148억원대로 가장 컸다. 4050세대는 10억원 이상 고액 투자자의 60%였으며, 이들의 평균 투자액은 127억원으로 집계됐다.
안도걸 의원은 "코인은 과거 투기자산이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지만, 블록체인과 같은 미래 기술 산업의 핵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보편적인 투자대체 자산으로 자리 잡은 가상자산이 범죄 등에 악용되지 않고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당국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3. 50억 이상 서울 아파트 거래, 2015년 10건→2023년 1~9월 247건
서울에서 5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가 크게 늘어난 반면, 1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줄어들었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23일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들어 9월20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만649건으로 지난해 전체 거래량 3만4,040건보다 6,600여건 늘어났다. 이 가운데 매매가 50억원 이상 서울 아파트는 총 247채로 10년 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5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는 2015년 10건에 불과했으나 2021년 세 자릿수를 처음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151건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아직 4분기가 남은 상태에서 247채 거래돼 초고가 아파트 시장의 열기를 실감케 했다.
월별로 봐도 올해 1월 17건이던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5월에 28건, 6월에 38건, 7월에 62건을 기록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올해엔 매매가 200억원을 넘긴 아파트도 등장했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 한남’ 전용면적 273m²가 6월에 200억원, 7월에는 220억원에 매매됐다. 2021년 84억원에 거래된 동일 면적·동일 층이 3년만에 2.5배가량 뛰었다.
분양시장에선 100억원 넘는 아파트가 완판 소식을 알리기도 했다. 서울 광진구에서 1월 분양한 ‘포제스 한강’은 평균 10대 1 경쟁률을 기록하며 완판됐다. 전체 128가구 중 38가구가 분양가 100억원을 넘겼다.
반면 10억원 이하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은 꾸준히 줄었다. 2022년 10억원 이하 서울 아파트 거래는 8,139건으로 전체(1만2,052건)의 76.5%에 달했지만, 2023년에는 전체 거래 3만4,040건의 60.7%인 2만670채로 줄었다. 올해는 9월20일 기준 전체 4만649채 중 52.6%(2만1,386채)까지 줄어 들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계속 오르고 있고, 향후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과 금리 인하 기대로 현금 부자들이 선호하는 고가 아파트 강세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4.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 8월 0.03%↑…아파트값 급등에 수요 늘어
고금리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지난 2년간 하락세를 보였던 서울 오피스텔 매매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연이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오피스텔을 찾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가 2022년 8월 이후 23개월간의 하락세를 끝내고 7월 보합세로 돌아섰고 8월에는 전달 대비 0.03% 상승 전환했다. 부동산원은 “아파트값 상승이 지속되면서 교통 여건이 편리한 역세권을 중심으로 오피스텔 수요가 늘어나며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권역별로는 서남권(영등포·양천·동작·강서구 등)에서 0.09% 올랐고, 서북권(마포·서대문·은평구 등)에서 0.06% 상승했다. 동북권(노원·도봉·강북구 등)도 0.03% 올랐다. 반면 도심권(용산·종로·중구)은 0.01% 하락했고,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0.06% 하락했다.
면적별로 전용면적 40㎡ 이하와 40∼60㎡는 각 0.03%씩 올랐고 60∼85㎡는 0.02% 상승한 반면, 85㎡ 초과 오피스텔은 0.1% 하락했다.
서울과 달리 경기(-0.11%→-0.12%)와 인천(-0.23%→-0.28%)은 오피스텔 매물 적체가 심화하면서 8월 하락폭이 전달에 비해 더 커졌다. 부산(-0.16%→-0.28%), 대구(-0.34%→-0.6%), 광주(-0.28%→-0.39%) 등 대부분 지방도 하락세다.
오피스텔 전세 시장 역시 서울은 상승하고 그 외 지역은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8월 서울 오피스텔 전셋값은 전달 대비 0.01% 오르며 3개월 연속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다. 역세권과 대학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반면 수도권(-0.05%→-0.07%)은 하락폭이 커졌고, 지방(-0.12%→-0.17%) 역시 전세사기 우려에 따른 오피스텔 기피 현상이 지속되면서 하락폭이 커졌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