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 550만대...이 중 전기차 모델이 200만대

제네시스 전 차종 하이브리드 생산...2026년엔 900㎞ 전기차도 출시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현대차가 향후 10년간 120조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한다. 2030년 연간 글로벌 판매 목표를 전기차 200만대를 포함해 총 555만대로 잡았다. 하이브리드는 7개 차종에서 14개 차종으로 확대한다.

현대차는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현대차의 새로운 중장기 전략인 이른바 '현대 웨이'를 발표했다.

현대 웨이는 시장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현대 다이내믹 캐파빌리티'(Hyundai Dynamic Capabilities),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 확장을 위한 '모빌리티 게임체인저'(Mobility Game Changer), 수소사회 전환에 대비하는 '에너지 모빌라이저'(Energy Mobilizer) 등 3대 전략이 핵심이다.

현대차는 이를 위해 2033년까지 10년간 120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했던 10년간(2023∼2032년) 투자액 109조4,000억원과 비교해 10.1% 늘어난 것이다.

현대차가 목표한 2030년 글로벌 판매량 555만대는 지난해 판매 실적 대비 30% 이상 증가한 물량이다. 특히 전체 판매량의 36%를 전기차 모델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또 준중형과 중형 중심으로 적용했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소형, 대형, 럭셔리 차급까지 확대한다. 제네시스의 경우 전기차 전용 모델을 제외한 모든 차종에 하이브리드 옵션을 제공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전동화 속도 둔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완충 시 9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도 선보인다. EREV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각각 적용한 차량으로, 전기차와 같이 전력으로 구동하지만 엔진이 전기를 생산해 배터리 충전을 지원한다. 현대차는 2026년 말 북미와 중국에서 EREV 양산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현대차는 전기차 성능과 안전,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배터리 역량 강화도 적극 추진한다. 내연기관차,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유일하게 배터리 시스템 전 라인업을 확보한 글로벌 기업으로서 배터리 셀 경쟁력을 높이고 배터리 안전 기술을 고도화한다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2030년까지 보급형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신규 개발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10% 이상을 달성하는 내용의 중장기 재무 전략도 내놓았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