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BMS, 전압 등 실시간 점검해 화재위험 사전 차단"

서울·충남, 충전량 90%이상 전기차 지하주차장 출입제한 추진

黨政 '화재예방충전기 9만대 보급, 다자녀 전기차 보조금 2배 확대'

소방대원들이 14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소방재난본부에서 전기차 화재 진화 시연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방대원들이 14일 오후 부산 연제구 부산소방재난본부에서 전기차 화재 진화 시연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현대차·기아가 자사의 전기차는 배터리 과충전 사고가 한 건도 없었다고 20일 밝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배터리 과충전을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대책을 내놓고 있는 것에 대한 입장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는 이날 배포한 자료에서 "전기차용 배터리는 100% 충전해도 안전하도록 설계됐고,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배터리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문제 발생 시 차단·제어한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충전량과 전기차 화재 사이에는 인과 관계가 없다는 주장이다. 

앞서 서울시는 9일 전기차 배터리 잔량이 90%를 넘어서면 공동주택 지하주자장에 출입할 수 없도록 하는 등 과충전 방지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충남도도 11일 서울시와 비슷한 방안을 발표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19일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배터리 이력 관리 등 정부 측과 마련한 전기차 안전대책 협의안을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했다.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충전량은 배터리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내부 물리적 단락이나 쇼트를 발생시키는 핵심 요소가 아니다"면서 "현대차·기아의 BMS는 총 3단계의 과충전 방지 기술이 적용돼 현재까지 관련 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기아는 안전성이 검증된 범위 내 배터리 충전 용량이 산정되며, 소비자가 완충을 하더라도 전기차 배터리에는 추가 충전 가능 용량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내비게이션 화면의 충전량 수치는 배터리 셀 제조사와 자동차 제조사가 각각 설정한 마진(용량 차이)을 제외한 것으로, 100% 충전이 배터리 용량 최대치 충전이 아니라는 의미다. 여기에 BMS가 사용 가능 용량을 재산정하는 리밸런싱 과정에서도 일부 용량이 추가로 제외된다.

현대차·기아의 BMS는 주행, 충전, 주차 중에도 배터리 셀의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항목은 ▲전압편차 ▲절연저항 ▲전류 및 전압 변화 ▲온도 ▲과전압 및 저전압 등이다. 최근엔 순간 단락과 미세 단락 감지 기능이 추가됐다.

한편 정부와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에서 2025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를 열고 전기차화재에 대응해 화재예방충전기 보급을 9만대로 늘리고 무인파괴방수차, 진압장비 등을 추가 도입하는 예산을 반영하기로 했다. 다자녀 가구에 대해선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최대 2배(600만원)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저작권자 © 뉴스버스(Newsvers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