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만에 경무관→치안감→치안정감 승진
인수위 파견 조지호도 6개월 만에 2계급 승진
민주 "밀정 영전이 윤석열 정부 방향인가"
정부는 20일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과 조지호 경찰청 공공안녕정보국장 등 치안감 2명을 치안정감으로 승진시키는 인사를 단행했다.
두 사람은 올해 6월 경무관에서 치안감으로 승진한 뒤 치안정감으로 6개월 만에 2계급을 ‘초고속’ 승진했다. 치안정감은 치안총감인 경찰청장의 바로 아래 계급이면서 경찰청장 후보군에 포함된다. 현재 치안정감은 국가수사본부장과 경찰청 차장, 서울·부산·경기남부·인천경찰청장, 경찰대학장 등 7자리다.
이번에 2명이 새로 치안정감으로 승진함에 따라 내년 2월까지 임기가 보장된 남구준 국가수사본부장을 제외한 나머지 현직 치안정감 6명 중 2명이 교체된다. 내년 정년 퇴직을 앞둔 송정애 경찰대학장과 박지영 경기남부경찰청장 등 2명이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 출신인 김 국장은 지난 7월 초대 행안부 경찰국 국장에 발탁된 직후 경찰 입직 과정에서 ‘밀고 의혹’과 ‘프락치 의혹’을 받아왔다. 지난 1989년 노동운동단체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인노회) 동료들을 밀고한 대가로 경찰 대공직에 특채되고, 또 그 전에는 국군보안사(현 군사안보지원사령부)의 녹화사업(사상전향 공작) 대상이 돼 대학 서클 내부 동향을 보안사에 보고하는 일명 ‘프락치’였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와 관련,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지난 10월 4일 국정감사에서 “추측만 있을 뿐이지 뚜렷한 증거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경북 청송 출신으로 대건고와 경찰대(6기)를 졸업한 조지호 국장은 윤석열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 인사검증팀에 파견 근무를 한 경력이 있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청 특별수사본부 수사를 받고 있는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치안정감)은 인사 발령 없이 유임됐다. 특수본 수사 결과에 따라 교체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날 인사에서 한창훈 서울경찰청 교통지도부장과 김병우 서울경찰청 경찰관리관, 최현석 대전경찰청 수사부장도 각각 치안감으로 승진했다.
승진한 치안정감과 치안감의 보직은 이번 주 중 시도 자치경찰위원회 협의 과정을 거쳐 정해진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김순호 국장의 승진 인사에 대해 “밀정을 영전시키는 것이 윤석열 정부의 방향이냐”고 비판했다.
오영환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브리핑을 통해 “김 국장은 동료를 밀고해 경찰에 특채됐다는 의혹을 받는 인물이다”면서 “이번 인사는 공직 사회에 문제가 있어도 충성하면 확실해 챙겨준다는 잘못된 시그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