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감사원 감사 등 진상규명 작업 진행 중"
대통령실은 24일 정봉훈 해양경찰청장 등 해경 치안감 이상 지휘부 9명 전원이 '서해 피살 공무원' 사건 부실 수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일괄 사의를 표명한 데 대해 반려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오후 기자단 공지를 통해 "서해 피격 공무원 수사와 관련해 유가족과 국민께 오해를 드린 데 대해 해경 지휘부가 책임을 통감하고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현재 감사원 감사 등 진상 규명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일괄 사의는 반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봉훈 해양경찰청장 등 해경의 치안감 이상 간부 9명은 이날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해양경찰청은 이날 "전국 지휘관 화상회의를 열고 2020년 9월 서해에서 북한군 총격으로 사망한 해수부 공무원 이대준(당시 47세)씨 사건에 대한 부실 수사 책임을 지고 치안감이상 간부 9명이 모두 물러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사의를 표명한 간부는 치안총감인 정봉훈 청장, 치안정감인 서승진 차장과 김병로 중부청장, 김용진 해경청 기획조정관 등 치안감 6명으로 모두 9명이다.
정 청장은 입장문을 통해 “최근 우리 조직에 닥쳐온 위기 앞에서 조직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면서도 “우리 해양경찰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태어나기 위해선 새로운 지휘부를 구성하는 것이 답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해경은 2020년 9월 서해에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었던 고(故) 이대준 씨가 북한군 총격에 피살된 지 일주일 만에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월북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해경은 당시 군 당국이 북한의 통신 신호를 감청한 첩보와 전문기관을 동원해 분석한 해상 표류 예측 결과, 그리고 이 씨의 채무 내역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하지만 해경은 1년 9개월 만인 지난 16일 “이 씨의 월북 의도를 찾지 못했다”며 수사 결과를 뒤집는 브리핑을 했다.
정 청장은 지난 22일 "서해 피격 공무원 수사 결과 발표와 관련해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킨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대국민 사과를 했다.
이 기사와 뉴스버스 취재를 자발적 구독료로 후원합니다.
후원금 직접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신한은행 140-013-476780 [예금주: ㈜위더미디어 뉴스버스]
뉴스버스 기사 쉽게 보시려면 회원가입과 즐겨찾기를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