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민, '尹 어게인' 장동혁 5·18묘지 참배 차단했다

장동혁, 방명록도 못 쓰고 19분 만에 발길 돌려

2025-11-06     최기수 기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시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6일 광주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았지만, 광주 시민들의 반발과 저지로 무산됐다. 민주묘지 진입로부터 오월단체 등 시민단체 저지를 받은 장 대표는 인파를 뚫고 참배를 강행하려 했으나, 격앙된 현장 분위기에 결국 발길을 돌렸다.

장 대표와 양향자 최고위원, 정희용 사무총장, 김도읍 정책위의장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오후 묘지에 도착했으나 광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장 대표 등을 둘러싸고 출입을 막았다. 시민들은 '국민통합 정치쇼 오월영령 통곡한다', '오월영령 능욕하는 내란공범 장동혁은 광주를 떠나라', '5.18정신 훼손하는 장동혁은 물러가라' 등의 피켓을 들고 "장동혁은 물러가라" 구호를 외치며 장 대표가 묘역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했다.

장 대표는 입구에서 방명록도 적지 못한 채 경찰 호위를 받으며 5·18민중항쟁추모탑으로 걸음을 옮겼다. 일부 단체 관계자는 장 대표의 옷을 잡아당기며 참배를 막았고, 경찰과 단체 관계자, 당직자들이 뒤엉키며 현장은 아수라장이 됐다.

장 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거센 저항에 이동이 어려워지자 결국 추모탑 정면이 아닌 멀리 떨어진 곳에서 추모탑을 향해 30초가량 묵념했다. 헌화 및 분향은 하지 못했다. 장 대표 등 지도부는 묘지 도착 19분 만에 버스를 타고 떠났다.

앞서 광주 81개 시민사회단체는 성명을 내고 "5·18을 폄훼하고 내란을 옹호한 장 대표는 사죄해야 한다"며 "과거 전두환의 사자명예훼손 재판에서 부장판사로서 재판을 사실상 지연시켰고, 윤석열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며 내란을 옹호하는 발언을 이어 나갔다"고 비판했다.

장 대표는 5·18 민주묘지 참배가 불발된 후 "윤석열 면회 뒤 '뭉쳐 싸우자'고 한 발언을 번복할 생각이 없는가"라는 질문을 받자 "뭉쳐 싸우자고 한 것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함께 싸워야 한다는 것"이라며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는 것은 5·18 정신과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지난 5월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려 했으나 시민들의 반대에 막혔다. 윤석열도 대선후보였던 지난 2021년 11월과 2022년 2월, 5.18민주묘지를 찾았지만 '전두환 옹호 발언' 등에 항의하는 시민들로 인해 참배가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