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분팁] 시력 저하의 주요 원인 백내장, 수술로 개선 가능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빛이 망막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시력이 떨어지는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이다. 주로 5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증가, 자외선 노출, 당뇨병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서도 발병 사례가 늘고 있다.
백내장의 가장 흔한 증상은 시야가 뿌옇게 보이고, 안경을 착용해도 선명도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또 빛 번짐, 눈부심, 색감 변화 등이 동반되며, 야간 운전 시 불편감이 특히 두드러진다. 이러한 증상을 방치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백내장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인공수정체 삽입술이다.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한 뒤 환자의 눈 상태와 생활 습관에 맞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이다.
단초점 인공수정체는 특정 거리의 시력을 교정하는 기능을 하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해 경제적 부담이 적다. 반면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를 모두 교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생활 환경에서 편리하지만, 비급여 항목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난시 교정이 가능한 토릭 렌즈, 빛 번짐과 눈부심을 줄인 연속초점형 렌즈 등 다양한 인공수정체가 제공되고 있어 환자의 직업과 생활 패턴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요즘 같은 여름철 자외선 노출은 백내장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강한 자외선은 수정체 단백질 변화를 촉진해 혼탁을 가속화할 수 있으므로, 선글라스나 모자를 착용해 눈을 보호하는 생활 습관이 필요하다. 특히 자외선이 강한 계절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초기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은 “백내장이 단순한 노화 현상으로 여겨 방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며 “특히 40대 이후에는 정기적인 시력 검진을 통해 눈 건강을 점검하고, 시력 저하나 생활 불편이 지속될 경우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적극적인 개선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