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李대통령…참사 유족들에게 “책임 못 다한 정부, 사죄”
세월호·이태원·오송·무안 참사 등 유족과 대화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 건의사항 경청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세월호·이태원·무안 여객기·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의 희생자 유가족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라는 제목의 행사를 열고 참사 유족 200여명을 초청해 대화를 나눴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국가의 제1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데, 국민이 위협을 받을 때 국가가 그 자리에 있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생명보다 돈을 더 중시하고, 안전보다 비용을 먼저 생각하는 잘못된 풍토 탓에 죽지 않아도 될 사람이 죽는 일이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또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였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진상규명이나 배상, 보상, 사과 등 유족들의 말을 듣고 필요한 대책을 함께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최은경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는 “재난 이후 국가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한 채 모든 일을 스스로 감당해야 했다”며 “소통의 자리를 만들어줘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그는 특히 ▲국정조사 ▲책임자 처벌 ▲재난 유가족 지원 매뉴얼 법제화 ▲추모비 설치 및 추모공간 조성 ▲심리회복 프로그램 즉시 시행 등을 제안하며 “충북도지사 관련 검찰 수사의 형평성을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0
이태원 참사 3주기 추모식에 참석해 달라는 요청도 있었다. 송해진 이태원참사 유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추모식에 참석해) 국가가 국민을 지키지 못했다고 솔직히 인정함과 동시에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달라”고 건의했다.
아울러 송 위원장은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에 이태원참사 정보 제공, 참사 전후 경찰의 수사기록 일체 공개 등을 청원했다.
김유진 무안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 특별법 개정을 통한 진상 규명 ▲ 둔덕과 항공 안전 시스템에 대한 전수 점검 ▲ 트라우마 센터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끝으로 김종기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세월호가 왜 갑자기 단시간에 침몰했는지, 304명이나 되는 국민을 왜 한명도 구하지 못했는지 등 핵심적인 진상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며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피해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생명안전기본법이 올해 안에 제정돼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