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실·국회 세종시로 완전 이전" 공약

"충청을 행정·과학수도로…임기내 대통령 집무실 이전" "충북은 미래산업, 충남은 환황해권 거점" 김동연 "당선 다음날부터 세종 근무"…김경수 "행정수도 이전"

2025-04-17     이진동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7일 대전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무기체계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7일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내 건립하고,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충청은 국토의 중심이자 대한민국의 심장이다.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이어 “충청의 심장이 힘차게 뛰어야 대한민국 경제의 혈맥이 살아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인 과학수도로 만들겠다"며 "충북은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충남은 환황해권 거점으로 완성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세종에 대해서는 "사회적인 합의를 거쳐 국회 본원 및 대통령 집무실 세종 완전 이전을 추진하고, 현재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도 조속히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청와대를 다시 집무실로 사용하다가 세종 집무실로 옮겨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의 측근인 정성호 의원은 뉴스버스와의 인터뷰에서 “세종에 제대로 된 집무실을 만드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윤석열이) 용산으로 이전해선 안되는 걸 했다. 대통령 집무실이 군 지휘부와 같이 있는 것은 너무나 위험하다”고 말했다. 

윤석열 친위쿠데타의 본거지였던 용산 대통령실을 이 후보가 집무실로 사용할 것 같지 않으나, 당선증 받는 순간 당장 대통령의 지위가 생긴다는 점에서 용산 대통령실이나 정부종합청사 등이 임시 집무실로 이용될 가능성은 있다.

이 후보 캠프 총괄본부장을 맡고 있는 강훈식 의원은 “세종 완전 이전은 수도 이전”이라며 “국민 동의와 사회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집무실과 수도 이전은 개헌을 전제로 하는 것이어서 개헌 문제와도 연관돼 있다.

이 후보는 대전(AI·우주산업), 세종(스마트행정), 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 산업), 충남(디스플레이 산업)을 잇는 유기적인 '첨단산업벨트' 구축 구상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하고 글로벌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 인재 양성 인프라 확충도 지원하겠다"며 "삭감된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늘리고 연구 생태계를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또 "대전과 충남 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을 유치해 '무늬만 혁신도시'가 아닌 실질적 기능을 갖추도록 하겠다"며 "충북혁신도시는 중부내륙 성장 거점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4개 시도(세종·대전·충남·충북) 통합경제권을 만들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충청이 살면 대한민국이 산다. 과감한 투자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충청에서 첫 지역일정을 소화한 김동연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도 기자들과 만나 "당선이 된다면 바로 다음날 세종시에서 대통령 근무와 집무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수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도 지난 13일 세종시청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대통령실을 이곳 세종시로 옮겨오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이로써 민주당의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기호순) 모두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운 셈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