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AI 투자 100조원 시대 열겠다…AI 규제 합리화"

"전 국민 AI 무료로 사용...모두의 AI프로젝트 추진" "생명 담보 성장 아닌 'AI 기본사회' 만들 것"

2025-04-14     뉴스버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백준호 대표 등 임직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는 14일 "정부가 민간투자의 마중물이 돼 AI(인공지능)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는 수준까지 증액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고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고 밝혔다.

이 예비후보는 이날 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 방문을 앞두고 소셜 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AI는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예비후보는 특히 "투자도 받기 전에 불합리한 AI규제로 위축되는 일이 없도록 면밀히 점검하여 기업이 불필요한 규제에 시달리지 않고 개발에 몰두하도록 AI 규제를 합리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산업 생태계 조성 관련법,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의 규제 특례를 적용받는 'AI 특구'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모든 국민이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 예비후보는 "이른바 '한국형 챗GPT'를 전 국민이 사용한다면 순식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며 "이는 다른 산업과의 융합, 생산성 혁신, 신산업 창출로 이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AI 산업융합을 주도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예비후보는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도 했다.

이 예비후보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강화하고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기술자, 연구자, 투자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살필 것"이라며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AI 허브의 기반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I 핵심 자산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최소 5만개 이상 확보하고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과 실증을 적극 지원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겠다"면서 "기업의 연구 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 데이터도 민간에 적극 개방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예비후보는 또 "국제협력으로 글로벌 AI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겠다.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고 협력국 공용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며 "태평양, 인도, 중동 국가까지 협력을 확대하면 (협력망에 들어오는) 디지털 인구가 10억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재 육성 방안도 소개했다.

이 예비후보는 ▲ AI를 위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강화 ▲ 지역별 거점대학에 AI 단과대학 설립 ▲ AI 분야 우수 인재의 병역특례 확대 ▲ 해외 인재 유치 ▲ 제조업·ICT·뷰티산업·방위산업 등과 연계한 융복합 인재육성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구글의 CEO인 선다 피차이는 'AI가 인류에게 불이나 전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며 "추격국가가 아닌 선도국가가 돼야 한다. K이니셔티브를 위해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덧붙였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