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계엄 때 대검-방첩사-국정원 연쇄 통화"...검찰 "사적 연락"
추미애 "계엄 당일 대검 고위 검사2명 선관위 출동" 대검 "비상계엄 때 지원 사실 없고, 통화도 사적 내용"
더불어민주당이 지난해 12.3 내란 사태 당시 대검의 간부 검사 2명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동했다고 검찰의 비상계엄 가담 의혹을 재점화시켰다.
민주당 ‘윤석열내란 진상조사단’은 5일 기자회견과 보도자료를 통해 대검찰청 소속 검사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군 방첩사령부 간부와 통화하고 선관위로 출동했다는 내용의 제보를 공개하고, 수사를 촉구했다.
내란 진상조사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4일 0시 37분쯤 대검 과학수사부 소속 선임과장(부장검사) 방첩사의 B 대령에게 전화를 걸고 약 1분22초 정도 통화했다"며 "이후 0시 53분쯤 B 대령은 국정원 과학대응처의 C처장과 약 2분2초간 통화했다. 진상조사단은 “당시 대검 과학수사부 소속 검사 2명이 과천 선관위로 출동했다는 제보까지 입수했는데, 그 가운데 한 명이 방첩사 대령과 통화한 대검 과학수사부 선임과장이다”고 밝혔다.
또 진상조사단에 따르면 비상계엄 당시 대검 과수부 소속 검찰 간부와 방첩사 대령, 국정원 과학대응처장간 통화 내역은 처음 드러난 것이다. 대검 과수부 선임과장은 디지털포렌식, 거짓말 탐지기, DNA분석, 사이버범죄 등을 수사하는 검사이고, 국정원 과학대응처장은 국가안보수사국 소속 고위공무원으로 ‘사이버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장인 추미애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계엄 선포 1시간 후 여 사령관이 선관위 서버를 국정원 검찰에 인계하라고 지시했는데, 실제 대검 과학수사부가 움직였다는 증거를 찾았다"면서 "검찰, 방첩사, 국가정보원 순으로 긴박하게 연락을 주고받은 다음 대검 과학수사부 고위직 두 명이 선관위로 출동했다는 제보까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검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방첩사 등 다른 기관으로부터 어떤 지원 요청이나 지원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대검은 또 과학수사부 선임과장과 방첩사 대령간 통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사적인 안부를 묻는 전화였다”고 계엄 가담 의혹을 부인했다. 과학수사부 선임과장인 A과장은 오마이뉴스와 통화에서 “방첩사 대령과는 2016년부터 친구로 알고 지낸 사이라 (그날) 친구가 걱정돼 전화해서 '괜찮냐, 조심해라'라고 했다"면서 “선관위에 출동한 사실도 없다”고 해명했다. 대검은 A검사가 4일 오전 0시5분에 대검 청사에 들어와 오전 2시46분에 나갔다고 출입시간을 공개했다.
대검의 해명과 당사자의 반박에도 불구하고, 하필 그 시간에 대검 과학수사부 검사가 방첩사 대령과 통화하고, 이 대령은 국정원 과학대응처장과 연쇄 통화한 점은 우연으로만 보기엔 석연치 않은 대목이 많다.
내란진상조사단은 보도자료를 통해 “12.3 내란 관련 실질적인 검찰의 개입이 드러난 것"이라며 ”수사기관은 대검 과수부 소속 검사 2명은 왜 출동했는지, 누구의 지침을 받았는지 등 의혹 관련 수사를 통해 명명백백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