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분팁] 삶의 질 떨어뜨리는 척추관협착증, 풍선확장술이 치료에 도움
허리 통증은 노화와 함께 찾아오는 단골손님이다. 나이가 들수록 근력이 떨어지고 골밀도가 감소하면서 척추에도 퇴행성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퇴행성 척추변형이 진행되면 허리가 옆이나 앞으로 휘고, 등과 허리에 통증이 나타난다. 이때 허리통증과 함께 종아리나 허벅지가 저리는 느낌이 들면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다.
척추관이란 척수와 하지로 가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로, 척추관협착증은 이 척추관이 주변의 인대나 뼈가 두꺼워지는 등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좁아지는 질환이다. 이때 신경이 눌리면서 통증이 느껴진다. 특히 걸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통증이 감소하는 증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척추관협착증은 디스크와 달리 앉아서 쉬거나 누워 있을 때는 증상이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근육통 등으로 가볍게 여기고 굳이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척추관협착증을 방치하면 허리가 굽어 ‘꼬부랑 허리’가 되거나 신체 마비가 발생해 거동이 힘들어질 수도 있다.
일단 척추관 협착이 진행되면 자연적으로 회복하기 어려우므로 빨리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다. 척추관협착증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수록 증세가 빠르게 나아질 수 있다. 증상이 가벼울 때는 약물 처방이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는데, 이를 통해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풍선확장술 등의 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조은마디병원 송철 병원장은 “풍선확장술은 꼬리뼈 부분에 국소마취를 진행한 후 2~3㎜의 특수 카테터를 안전하게 삽입하는 방식”이라며 “협착 부위에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척추관을 넓히고 부종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약물을 주입한다”고 설명했다. 수술과 달리 전신마취를 하지 않기 때문에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환자의 증상과 척추 및 주변 조직의 상태, 질환의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지기에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무작정 시술이나 수술을 겁내기보다는 믿을 수 있는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를 선택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