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뉴스] 환율, 이틀째 금융위기급 1,450원대…코스피 2,400선 겨우 사수

[2024년 12월 21일 뉴스버스 픽 경제뉴스] 1인당 평균 종합소득금액 1위 지역은?…서울 용산구 1억3,000만원 지난해 서울시민 1인당 개인소득 3,000만원 육박…8년째 1위

2024-12-21     고재학 기자
20일 운영을 시작한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에서 시민들이 빙판을 가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 환율 급등에 외화대출 문턱 낮춘다…强달러 현상 당분간 지속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 충격에 원화값이 이틀째 15년 전 금융위기 수준에서 움직였다. 코스피는 외국인들의 '팔자'가 이어지며 겨우 2,400선을 지켜냈고, 코스닥은 2%대 하락했다.

20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오후3시30분 기준)은 전날 종가(1,451.9원)보다 0.5원 내린 1,451.4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에 이어 2거래일째 금융위기 수준 환율을 이어가고 있다. 환율 1,450원 돌파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16일(1,488.0원) 이후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의 나홀로 성장과 상대적 고금리로 강달러 환경이 지배적이라는 점에서 원화가치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이 "앞으로 금리인하는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며 내년 금리인하 횟수를 종전 4회에서 2회로 줄인 영향이 크다. 국내 경기 부진 우려와 탄핵 사태 등 정치적 불안도 원화값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11월 경제 전망에서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 2.2%를 최근 소비 침체 등을 반영해 2.1%로 낮춰 잡았다.

외환당국이 내놓은 시장 안정화 조치도 별 효과가 없었다. 전날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는 "지나친 쏠림 현상은 향후 반대 방향으로 큰 폭의 반작용을 수반한다"며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한도를 650억달러로 증액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이날 오전에는 외환 유입관련 규제 완화에도 나섰다. 그동안 대외건전성 관리를 위해 외환 유입을 엄격히 제한했는데, 국제금융·외환시장 환경 변화를 고려해 유연화하는 쪽으로 정책기조를 재검토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은행의 선물환 포지션(선물외화자산-선물외화부채) 한도를 50%에서 75%로, 외국은행 국내지점 한도는 250%에서 375%로 올렸다. 외국환은행 거주자들이 원화로 환전해 사용하는 외화대출에 대한 제한도 완화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대비 1.30% 내린 2,404.15에 장을 마쳤다. 한때 1,389.86까지 떨어졌지만, 장 종료를 앞두고 2,400선을 회복했다. 개인이 7,903억원을 사들였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2247억원과 879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코스닥은 2.35% 급락한 668.31에 거래를 마쳤다. 670선이 붕괴된 것은 10일(종가 661.59) 이후 8거래일 만이다. 개인이 1,329억원어치를 사들였지만,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37억원과 34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2. 작년 종합소득세 상위 1%가 절반 부담…신고 인원 1,148만명

지난해 1인당 평균 종합소득금액이 가장 높은 시·군·구는 서울 용산구로 나타났다.

20일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인원은 1,148만명으로, 전년보다 11.7% 증가했다. 종합소득세 종합소득금액은 386조원, 결정세액은 52조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4.2%, 8.3% 늘어났다.

229개 시·군·구 중 서울 용산구의 1인당 평균 종합소득금액이 1억3,0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강남구(1억1,700만원), 서울 서초구(1억900만원), 경기 과천(6,400만원), 서울 종로구·대구 수성구(6,100만원) 순이었다.

상위 1%의 종합소득금액은 전체의 21.1%인 81조원으로 전년보다 1.8%포인트(p) 줄었다. 하지만 상위 1%의 결정세액은 25조원으로 전체의 49.3%나 됐다. 마찬가지로 1.6%p 감소했다.

상위 10%의 종합소득금액 비중은 전체의 52.1%, 결정세액 비중은 84.8%로 집계돼 전년 대비 각각 2.2%p, 1.1%p 줄었다.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결정세액이 '0원'인 납세자(면세자)는 284만명으로 전체의 24.7%였다. 

3. 지역내총생산 충북·전북은 '역성장'…인천 4.8% 성장해 전국 1위

지난해 서울의 1인당 개인소득이 약 3,000만원으로 집계돼 8년째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인천의 지역내총생산(실질)이 4.8% 성장할 때 충북과 전북은 마이너스(-)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일 내놓은 '2023년 지역소득 통계(GRDP·잠정)'에 따르면, 작년 전국의 개인소득(명목)은 1,321조원으로 전년보다 30조원(2.3%) 증가했다. 통계청 정선경 소득통계과장은 "개인소득 중 피용자보수가 4.2% 증가했고 소상공인 지원금 등 정부 지원금은 감소해 전체적으로 2.3% 늘어났다"고 말했다. 인구 1인당 개인소득은 2,554만원으로 집계돼 역시 1년 전보다 56만원(2.3%)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1인당 개인소득이 전년보다 4.2% 증가한 2,937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다. 서울은 2016년 울산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선 뒤 지난해까지 8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서울의 급여 수준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데다 서울 인구가 줄면서 1인당 개인소득으로 산출할 때 증가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어 울산(2,810만원), 대전(2,649만원), 세종(2,600만원) 순이었다. 경남(2,277만원), 제주(2,289만원) 등은 전국 평균보다 적었다.

1인당 개인소득은 가계나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가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추계인구로 나누어 산출된다. 

 지난해 지역내총생산(실질)은 전국에서 1.4% 증가했다. 인천이 4.8% 성장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운수업과 제조업이 인천의 성장률을 견인했다. 대전(3.6%)과 울산(3.2%)의 성장률도 높았다. 반면 충북(-0.4%)과 전북(-0.2%)은 제조업, 농림어업 부진으로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전국 지역내총생산(명목)은 2,404조원으로 전년보다 77조원(3.3%) 늘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역내총생산이 전국의 52.3%인 1,258조원에 달했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국에서 4,649만원으로 집계됐다. 울산이 8,124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충남(6,471만원)이 뒤를 이었다. 대구(3,098만원), 부산(3,476만원)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