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뉴스] 직장인 3만4,000명 퇴직연금 깨서 집 샀다…중도인출 80% '주거 문제'
[2024년 12월 17일 뉴스버스 픽 경제뉴스] 70년대생 'X세대' 60% ‘노후 준비 못 해’…43% ‘부모자녀 동시 부양’ "고금리로 집 샀다가 망했어요"...아파트 경매 시장 '초호황'
1. 퇴직연금 중도인출 4년 만에 증가 전환…주택 구입 52.7%, 주거 임차 27.5%
지난해 집을 사기 위해 퇴직연금을 중도 인출한 사람이 크게 늘었다.
통계청이 16일 내놓은 '2023년 퇴직연금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중도인출 인원은 전년보다 28.1% 늘어난 6만4,000명, 인출 금액은 40.0% 급증한 2조4,000억원으로 조사됐다. 퇴직연금 중도인출 인원과 금액은 2019년 이후 내리 줄다가 4년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중도인출 사유(인원 기준)는 ‘주택 구입’이 52.7%로 가장 많았고, ‘주거 임차’(27.5%), ‘회생 절차’(13.6%) 등의 순이었다. 20대 이하는 주거 임차,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주택 구입 목적의 중도인출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주택구입 목적 중도인출 인원은 3만4,000명, 금액은 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인원과 금액 모두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치다. 고금리 부담 탓에 집을 사면서 대출 비중을 줄이고 퇴직연금을 동원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퇴직연금 총적립금은 381조원으로 전년보다 13.9% 늘어났다. 퇴직연금 유형별로는 세액공제 혜택이 최대 7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늘어난 개인형 퇴직연금(IRP)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IRP 가입 인원은 321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7.0% 증가했고, 적립금액은 전년보다 30.9% 늘어난 76조원으로 나타났다.
퇴직연금 운용 방식별로는 은행 예금, 국공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원리금보장형(80.4%)이 압도적이었고, 주식 등 원리금이 보장되지 않는 실적배당형은 12.8%에 불과했다. 금융권역별로는 은행이 전체 적립금의 51.6%를 점했고, 증권(22.7%)과 생명보험(20.7%)이 뒤를 이었다.
2. X세대, 월 624만원 벌어도 허덕여…직장에선 ‘꼰대’ 취급
1970년대 태어난 'X세대' 10명 중 6명은 아직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자녀와 부모를 동시에 부양해야 하는 부담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우리금융그룹이 16일 전국 만 20~69세 1만명을 조사해 내놓은 '2024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X세대(1970~1979년생) 중 현재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9.3%에 그쳤다. X세대 10명 중 6명이 노후 준비를 못 하고 있는 셈이다.
X세대 노후 준비율이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9년생)의 52.7%보다 현저히 낮은 것은 자녀와 부모를 동시에 부양해야 하는 부담 때문으로 분석됐다.
X세대의 월평균 소득은 624만원으로 밀레니엄(M) 세대(1980년~1994년생)나 베이비부머 세대보다 100만원 이상 많았다. X세대의 월평균 소비액은 289만원으로 밀레니엄 세대보다 70만원, 베이비부머 세대보다 49만원 많았다. X세대의 90%는 소비를 줄이려고 했고, 71%는 추가 소득 마련을 위해 노력했다고 응답했다.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여부를 묻는 질문에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한다'는 응답은 X세대가 43%로 가장 높았다. M세대는 23%, 베이비부머 세대는 22% 수준이었다. 반면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X세대가 15%로 가장 낮았다. M세대는 29%, 베이비부머세대는 40%였다.
자산 증여에 대해 X세대의 19%는 자녀가 미성년자일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답해 베이비부머 세대(9%)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자녀 명의 금융상품 저축률도 X세대 47%, 베이비부머 세대 20%로 큰 차이를 보였다.
기성세대에게서 '신인류'로 불렸던 X세대도 이젠 직장에서 '꼰대' 취급을 받았다. M세대의 61%, Z세대(1995년 이후 출생자)의 58%는 X세대인 40~50대를 '직장 내 빌런'이라고 꼽았다. X세대는 '주변에서 나를 꼰대라고 생각한다'에 대해 55%가 동의했다. 세대 차이를 체감하는 비율도 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 13만건, 2013년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
올해 대출금을 갚지 못해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2013년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대출로 집을 '영끌' 매입했다가 고금리 탓에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이들이 급증하고 있다는 뜻이다.
16일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11월 부동산(토지·건물·집합건물)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는 12만9,703건으로 집계됐다. 1∼11월 누적만으로도 2013년(14만8,701건) 이후 최대다.
임의경매란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원금이나 이자를 석 달 이상 갚지 못해 채권자가 대출금 회수 목적으로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것이다. 보통 은행 등 금융기관이 채권자일 때 활용된다. 강제경매와 달리 별도 재판 없이 곧바로 법원에 경매를 신청할 수 있다.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에 임의경매는 2년째 급증세다. 저금리 시기인 2021년 6만6,248건, 2022년 6만5,586건이던 임의경매는 지난해 10만5,614건으로 전년보다 61% 늘었다. 올해 1∼11월 임의경매 건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 많았다. 임의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2년 새 2배가 된 셈이다.
특히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주택·집합상가 등) 임의경매 증가세가 가팔랐다. 1∼11월 집합건물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는 5만1,853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3만5,149건)보다 48%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집값 급등기에 대출 규제를 피해 대부업체 등 고금리 대출을 끌어다 쓴 이들의 부담이 커졌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