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영풍, 법원에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 신청
고려아연 "유상증자, 공개매수 종료 후 검토…실사기간 착오기재"
영풍이 법원에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신청했다. MBK·영풍 연합은 1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달 28일 상법에 따라 적법하게 고려아연 이사회에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청구했으나 회사가 아직 총회 소집의 절차를 밟지 않고 있다"며 이날 서울중앙지법에 임시주총 소집 허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사회는 오히려 임시주총 소집 청구 이후 이틀 만에 2조5,000억원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해 이 유상증자가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기존 주주들에 대한 피해는 물론 회사의 주주구성과 지배구조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며 "임시주총이 신속히 개최될 필요가 있어 신청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지난달 28일 14명의 신규 이사 선임과 집행임원제도 도입을 위한 정관 개정을 결의하기 위한 임시주총 소집을 회사 측에 요구했다. 신규 이사를 진출시켜 이사회를 재구성하고, 집행임원제도를 통해 최윤범 회장을 비롯한 주주들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자는 취지다.
MBK 관계자는 "기존 주주들에게 손실을 입히고, 시장을 혼란에 빠트린 고려아연 이사회의 유상증자 결정은 최윤범 회장의 전횡으로 인해 고려아연 거버넌스가 얼마나 심각하게 훼손돼 있는지를 명백하게 드러내고 있다"며 법원이 신속하게 허가 결정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고려아연은 최근 발표한 일반공모 유상증자와 관련한 논란에 "추진 과정에 일부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이날 밝혔다.
고려아연은 입장문을 내고 지난달 30일 발표한 일반공모 유상증자에 대해 오해가 많아 설명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해명했다. 고려아연은 먼저 "일반공모 증자를 검토한 것은 지난달 23일 자기주식 공개매수 종료 이후"라고 강조했다.
이는 전날 금융감독원이 고려아연 이사회가 공개매수로 자사주를 취득해 소각하겠다는 계획을 세우면서 이를 유상증자로 상환할 것이라는 계획을 함께 세웠다면 부정거래에 해당한다며 조사에 착수한 것에 대한 해명이다.
고려아연은 공개매수 종료 이후 주가가 공개매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으나 지난달 22일부터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유동 물량이 부족해져 시장 불안정성이 심화됐고, 거래량 감소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이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었다고 당시 시장 상황을 설명했다.
여기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 편출 가능성까지 높아지는 등 부작용이 커져 긴급하게 유상증자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고려아연은 지난 30일 공시한 증권신고서에 미래에셋증권이 지난 14일부터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했다고 기재해 의혹을 키운 데 대해서도 해명했다.
고려아연은 "저금리의 부채조달을 위해 증권사와 한 회사채·기업어음(CP) 등 부채조달 방안을 검토한 것이 잘못 표기된 것"이라며 "당사는 자료가 공개된 상장법인이라 회사채 발행 등 부채조달 실사 결과를 유상증자 실사에도 거의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때문에 증권사가 기존의 실사 결과를 사후적으로 증자에 활용하면서 14일부터 유상증자 실사를 한 것으로 신고서에 착오 기재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고려아연은 "투자자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한 점에 대해 양해 말씀을 드린다"며 "실제 사실관계를 당국과 시장에 정확하고 성실하게 설명하고 논란을 적극 해소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