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조선일보 주필 , '남·북 대리전쟁 할 일 있냐?’...살상 무기 지원 반대
김대중 전 조선일보 주필 “우크라 살상 무기 제공 바람직스럽지 않다” ‘우크라, 살상 무기 지원’ 부추기는 조선일보 입장과 상반된 내용 이틀전 조선일보 사설 “우크라이나에 공격 살상무기 지원 검토해야” 김대중 “서방 언론·우크라 지도층, 한국 대응 부추기는 듯한 인상”
윤석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 지원을 검토하겠다는 발언이 나온 가운데, 대표적 보수칼럼니스트인 김대중 전 조선일보 주필이 29일자 조선일보 칼럼을 통해 “살상 무기 제공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김 전 주필은 이날자 A34면 ‘우크라이나의 남북 대리전쟁’이라는 칼럼에서 “자칫 유럽 땅에서 코리안끼리 대리 전쟁을 하는 것처럼 비쳐지거나, 남북한끼리 적대적 대립 의식을 발산하는 분출의 시연장으로 변모할 가능성마저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전 주필의 주장은 조선일보가 이틀 전(10월 26일자)사설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힌 입장과 크게 상반된다. 조선일보는 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지 이틀 뒤인 26일자 사설을 통해 “일단 우크라이나가 가장 원하는 천궁 등 대공미사일 등의 방어용 무기 지원을 검토하고, 러시아가 북한에 무기나 기술을 넘기는 정황이 확인되면 공격 살상 무기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고 노골적으로 거들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4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있었는데, (파병된) 북한군의 활동 여하에 따라 (살상 무기 지원을) 검토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처음으로 직접 ‘살상 무기 지원’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이후 논란이 커졌다.
김 전 주필은 칼럼에서 “그동안 우크라이나를 비전투적 차원에서나마 지원하고 편을 든 것은 서방 민주사회 특히 미국과 맺은 연고를 고려한 일종의 ‘우정 출연’이었다”면서 “그러나 살상무기 제공은 별개의 문제로, 무력적 적대 행위 즉 전쟁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전 주필은 이어 “나아가 남북한이 공히 ‘나토 대(對) 러시아’의 꼭두각시로 비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된 뒤 “미국이 지원을 끊으면 우크라이나는 현 전선에서 올스톱이고 결국 러시아의 승리로 귀결될 공산이 크다”면서 “그런 긴박하고 민감한 시점에 섣불리 살상무기 지원 운운하는 것은 타이밍상으로도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김 전 주필은 “서구 언론, 친 우크라이나 언론들이 북한군의 참전을 미주알고주알 상세히 보도하는 데서 마치 한국의 어떤 대응을 기대하는 것 같은, 또는 부추기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특히 우크라이나 지도층에게서 그런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집권층과 서방 언론에 부하뇌동하는 듯한 尹 정부의 대응을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날 한국일보 김희원 뉴스스탠다드 실장은 ‘문제는 김 여사 아닌 윤 대통령이었다’ 칼럼에서 “대통령 주위를 둘러싼 군사모험주의와 정권의 위기를 외부로 돌리려는 오판이 결합해 전쟁위험이 현실이 될까 공포스럽다”면서 “나라를 파멸로 이끄는 안보 위기 만큼은 합심해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