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협 "압수수색을 무기로 한 언론탄압 즉각 멈추라"
인기협, 주류언론 향해 "검찰 확성기 노릇 심판받을 것" 민언련 "정권의 언론장악 하수인 검찰의 정치수사 규탄" 기자협회 "권력 감시 의혹제기는 언론의 기본 소명" 언론노조 "尹 심기와 정권 안위를 고려한 정치 수사"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2011년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때 대장동 대출 부실 수사 의혹을 제기한 뉴스버스와 경향신문 전·현직 기자 압수수색에 대해 27일 논평을 내고 "검찰과 경찰은 압수수색 등을 무기로 한 언론 탄압을 즉각 멈추라"고 밝혔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최근 검찰과 경찰은 윤석열 대통령과 정권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 언론과 기자에 대해 무차별적인 압수수색, 사찰, 구속영장 청구 등 탄압을 이어가고 있다"며 이 같이 촉구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기자의 거주지나 언론사가 압수수색 당하지 않으려면 검찰과 경찰의 눈치를 보며 기사를 쓰라고 강요하는 모양새다"면서 "검찰과 경찰이 압수수색을 무기로 ‘비판언론 재갈물리기’, ‘언론과 언론인에 대한 탄압’을 전방위로 가하는 형국이다"고 진단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또 주류언론사를 향해 "검찰과 경찰의 확성기 노릇을 하며 ‘허위보도’ 주장을 일방적으로 유포하는 이른바 ‘주류언론’부터 역사와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아야 할 일이다"고 지적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도 이날 논평을 통해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 하수인으로 전락한 검찰의 정치수사를 강력 규탄한다"면서 "검찰은 기자와 언론사를 대상으로 한 명분 없는 수사를 즉각 중단하라. 그렇지 않으면 언론자유를 침해한 중대범죄이자 국기문란 행위로써 국민의 엄중한 심판을 반드시 받게 될 것이다"고 경고했다.
또 한국기자협회는 전날(26일) "언론 탄압 시도를 당장 중단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기자협회는 “권력을 감시하고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언론의 기본 소명 중 하나”라며 “그런데도 여론조작이라는 명목을 앞세워 이를 취재하고 보도했던 기자들에 대해 압수수색을 강행하는 것은 언론의 권력 감시 기능을 상실시켜 권력의 입맛에 맞춰 길들이고자 하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성명에서 “반복되고 있는 검찰의 언론인·언론사에 대한 압수수색은 언론자유를 보장해온 사법적 판단을 깡그리 무시한 채 윤석열 대통령 심기와 정권 안위를 고려한 정치 수사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뉴스버스 / 김태현 기자 taehyun13@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