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日 강제징용 배상 40억 출연…'제3자 변제' 첫 기업

포스코, 2016년 2017년에 각 30억씩 60억원 출연 한일청구권협정 수혜 기업들 출연 잇따를 듯

2023-03-15     이대 기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지난해 10월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나와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포스코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40억원의 기부금을 출연했다고 15일 밝혔다. 

포스코는 이날 “지난 6일 정부의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한 입장 발표에 따라 과거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겠다는 약정서에 근거해 남은 40억원을 정부의 발표 취지에 맞게 자발적으로 출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2012년 3월 이사회 의결을 거쳐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기로 한 뒤,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30억원씩 60억원을 이미 출연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배상 해법으로 제시한 ‘제3자 변제안’에 발맞춰 그간 유보된 잔여 약정액 40억원을 출연해 약속을 이행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6일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해법으로 일본 기업이 아닌 국내 기업에 돈을 모아 배상하는 ‘제3자 대위 변제안’을 발표했다. 

포스코의 기부금 출연은 이번 정부의 ‘제3자 변제안’이 나온 뒤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수혜를 입은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이다.

재단은 포스코의 출연에 따라 포스코가 낸 기여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 기여금 사용승인을 요청했다. 

포스코를 제외한 KT, 케이티앤지(KT&G), 도로공사, 코레일, 외환은행 등 다른 청구권자금 수혜기업들도 기금 출연을 검토중 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구권자금 수혜기업은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 외환은행(현 KEB하나은행), 한국수자원공사, 중소기업은행(현 IBK기업은행),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농어촌공사, 농협, 수협,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케이티(KT), 케이티앤지(KT&G), 대한광업진흥공사(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울대병원, 기상청 등 16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