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반론] "김건희 주가조작 가담 의혹은 가짜뉴스"
대통령실 "계좌 활용됐다해서, 주가조작 가담은 아냐" 대통령실 "민주당이 '정치공세용 가짜뉴스' 퍼뜨려"
대통령실이 14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1심 판결과, 언론 보도 및 민주당의 주장 등과 관련한 입장문을 냈습니다. 대통령실의 입장문은 사실 관계를 왜곡하는 주장이 담겨있지만, 대통령실의 반론이라는 의미에서 입장문을 그대로 보도합니다. / 편집자 주
대통령실은 14일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이 있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1심 판결과 관련 “더불어민주당이 판결문 내용을 왜곡해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것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더불어민주당이 판결문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정치공세용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있어 사실관계를 바로 잡습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추미애, 박범계 (법무부) 장관 시절 2년 이상 탈탈 털어 수사하고도 기소조차 못한 사유가 판결문에 분명히 드러나 있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수십 명을 강도 높게 조사했으나, 김건희 여사와 주가조작 관련 연락을 주고받거나 공모했다고 진술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며 “그 결과 범죄사실 본문에 김건희 여사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전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어 “판결문 중 범죄일람표에 김건희 여사가 48회 등장한다며 마치 범죄에 관여한 듯이 거짓 해석을 하고 있으나, 48회 모두 ‘(도이치모터스 전 회장) 권오수 매수 유도군’으로 분류돼 있고 차명계좌가 전혀 아니다”며 “‘권오수 매수 유도군’이란 표현은 권 대표와 피고인들이 주변에 매수를 권유해 거래했다는 뜻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매수를 유도’ 당하거나 ‘(김건희) 계좌가 활용’ 당했다고 해서, 주가조작에 가담한 것으로 볼 수 없음은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또 “일부 언론은 2차 주가조작 기간에 48회나 거래했다고 부풀리고 있으나, 매매 내역을 보면 2010년 10월 28일부터 12월 13일까지 기간에 단 5일간 매도하고 3일간 매수한 것이 전부”라며 “아무리 부풀려도 ‘3일 매수’를 주가조작 관여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판결문상 주가조작 기간이 2010년 10월부터 2012년 12월까지로 2년이 넘는데, 2010년 11월 3일, 4일, 9일에 매수한 것 외에 김 여사가 범죄일람표에 등장하지 않는 것은 (주가조작) 피고인들과는 매매 유형이 전혀 달랐다는 뜻이다”며 “오히려 무고함을 밝혀주는 중요 자료”라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더불어 “그동안 ‘주가조작꾼 A씨에게 속아 일임 매매했다가 계좌를 회수하였고, 그 후 수년간 도이치모터스 주식을 간헐적으로 매매한 것은 사실이나 주가조작에 관여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는데, 판결문 내용과 해명이 충돌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대통령실은 이어 “특히, 판결문에서 주목할 것은 김 여사보다 훨씬 더 큰 규모와 높은 빈도로 거래하고 고가매수 등 시세조종성 주문을 직접 낸 내역이 있어 기소된 ‘큰손 투자자’ B씨의 경우에도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다”며 “같은 논리라면 ‘3일 매수’로 주가조작 관여 사실이 인정될 리 없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이 사건의 본질은 대선 기간 문재인 정부 검찰에서 공소시효가 이미 지난 사건을 억지로 공소시효를 늘려 기소했다가 법원에서 제동이 걸린 것”이라며 “2년 넘게 수사하고도 김건희 여사의 구체적인 가담 사실을 특정할 내용이 전혀 없어 공소사실을 작성할 수 조차 없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