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계 '이재명 책임론' 반격…"李 죽이기 기획 있었다"
민주, 참패 책임 두고 '친명 vs 친문' 당권 전쟁 격화
6·1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더불어민주당이 선거 패배 ‘책임론’을 두고 극심한 계파 갈등에 빠져들고 있다.
친문계가 ‘이재명 책임론’을 쏟아내자, 4일 ‘친(親)이재명 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전날(3일) 친문계의 ‘이재명 책임론’제기에 대해 자숙하던 분위기가 하루 만에 180도 달라졌다.
대표적 친명계인 김남국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방선거가 끝나자마자 마치 ‘작전’ 하듯이 국회의원 10여분께서 일제히 SNS에 글을 올리고 일부는 방송에서 일방적 주장을 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이재명 책임론’ 논의를 선거 전부터 계속했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어떤 의원은 선거 결과가 나오기도 전부터 이재명을 비난하는 메시지를 고치고 있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전국에서 선거 승리를 위해 간절하게 선거 운동을 하고 있을 때 일부 의원들은 ‘이재명 죽이기’를 기획하고 있었던 것 같다”며 “대선 때도 마찬가지였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국민들은 민주당 정치인들이 패배를 먼저 반성하고, 쇄신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 한다”며 “단 하루도 못 참고, 기다렸다는 듯이 일제히 ‘이재명 책임론’을 쏟아내는 모습을 보면서 절망하고 계시다”고 말했다.
소위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국면에서 민주당을 탈당했던 무소속 민형배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일부 민주당 인사들의 말이 많이 거칠다”며 “피를 철철 흘리고 있는 자기당 동지들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꼴이니 말이다. 경쟁자를 죽이겠다고 덤비는 심보는 제발 아니길”이라고 말했다.
민 의원은 이어 “문재인 정부 요직을 지냈거나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 등 주요 당직까지 하신 분들이다”면서 “이번 선거를 직접 지휘한게 아니라 해서 면책되는 건 아니다. ‘책임자가 남탓한다’는 말은 맨 먼저 자신들에게도 적용해야 옳다”고 ‘이재명 책임론’을 제기한 친문 의원들을 겨냥했다.
민 의원은 ‘친명계’로 분류되는 이재정 의원의 언론 인터뷰 동영상을 공유했는데, 이 영상에서 이 의원은 “개혁하고 일해야될 시기에 개혁의 모든 과제들을 스톱시키고 본인의 대권 행보로만 당을 활용해오던 분들인데 그분이 먼저 일성하시는 건 아니다”고 이낙연 전 대표를 정면 공격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2일 페이스북에 올린 ‘지방선거 이후 민주당’이라는 글에서 “(대선) 패배를 인정하는 대신에 ‘졌지만 잘 싸웠다’고 자찬하며, 패인 평가를 정략적으로 호도하고 왜곡했다”면서 “책임자가 책임지지 않고 남을 탓하며, 국민 일반의 상식을 행동으로 거부했다”고 이 의원과 송영길 전 대표 등을 직접 겨냥한 바 있다.
당내 강경파로 분류되는 정청래 의원도 '이재명 책임론'에 대해 “선거 때 후보를 찍어달라고 했다가, 선거 끝나자마자 후보깜이 아니었다고 한다면 언어모순 아니냐”면서 “우리 스스로에게 침 뱉고, 우리 스스로 눈을 찌르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지난 2012년 대선 패배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을 두고 불거진 ‘책임론’에 대해 언급하면서 “당시 ‘문 후보는 국회의원을 사퇴하고 정계를 은퇴하라’고 주장한 의원들이 있었다. 그때도 제가 ‘남 탓하지 말고, 우리 탓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얘기한 바 있다. 그 후로 문재인을 흔들던 사람들은 끝내 탈당하고 딴 살림을 차렸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2012년 당시 문재인을 공격하면 안 되었듯 대선후보였던 이재명에 상처를 내고 공격하면 안 된다. 민주당에 득될게 없다”고 덧붙였다.
김용민 의원도 “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국회의원들과 당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이제 정신 차려야 한다”며 “당권 장악 등 권력투쟁을 하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하면서 당 외부 정치세력과 권력투쟁을 피하는 정치인들은 결국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전날(3일)엔 친문 의원들의 ‘이재명 때리기’가 연달았다. 친문 핵심인 홍영표 의원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재명 고문은 대선 때 자신을 지지했던) 1,614만명이 뭉쳐서 (지방선거때) 도와줄 것이라는 위험한 생각을 가졌다”고 비판했다. 김종민 의원도 라디오에 나와 지방선거 패배 원인과 관련, “이재명, 송영길 두 분이 대선 한 달 만에 출마한 게 결정적이었다”며 “이건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상식에 어긋나는 행위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