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53년 만에 첫 파업 전운…노조 노동쟁의조정 신청
이재용, 무노조 경영 원칙 폐기 2년 만에 파업 위기
삼성전자 노조가 4일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접수했다. 이에 따라 1969년 창사 이래 53년 만에 첫 파업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 공동교섭단은 이날 오후 “중노위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공동교섭단에는 삼성전자사무직노조, 삼성전자구미지부노조, 삼성전자노조동행, 전국삼성전자노조 등 4개 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중노위는 조정신청은 합법적 파업 돌입을 위한 절차다. 중노위는 조정신청이 있는 날부터 10일 동안 조정 기간을 갖고, 2~3회의 사전 조정을 실시한다. 중노위는 이어 노사 양쪽의 주장을 청취한 뒤 본조정을 통해 조정안을 제시하게 된다. 노사 양측이 조정안을 받아들이면 조정이 성립되지만, 한쪽이라도 거부해 조정이 불성립되면 노조는 쟁의권(파업권)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중노뒤 조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파업 돌입 가능성이 있다.
삼성전자 노조가 파업에 나서게 될 경우 무노조경영 폐기 2년 만이고, 삼성전자 창사 53년 만에 첫 파업이 된다. 삼성은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 때부터 ‘무노조 경영’을 이어오다, 2020년 5월에 이재용 부회장이 ‘무노조 경영 폐기’를 선언했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해 10월부터 15차례에 걸쳐 2021년도 임금협상을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 측은 전 직원 계약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의 25%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지난해 3월 노사협의회가 정한 기존 임금인상분외에 추가 인상이 어렵다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3월 사내 자율기구인 노사협의회를 통해 발표한 임금 인상 폭은 기본인상률 4.5%에 성과인상률 3%를 합한 총 7.5%다.
노조는 지난달 회사가 제시한 임금협상 최종안을 놓고 조합원 투표를 실시했으나 90.7%가 반대했다.
삼성전자 4개 노조는 4,500명으로 전체 직원 약 11만명의 4% 수준이지만, 24시간 가동해야 하는 반도체 사업의 특성상 파업 돌입시 부담이 될 수 있다.
지난달 26일 회사 측은 추가 보상이 어렵다는 입장을 바꿔, 반도체 사업 부문 임직원들에게 기본급의 최대 300%에 달하는 특별 격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또 육아휴직 확대 등 복리후생책을 마련, 직원 설득에 나서고 있어 극적 합의 가능성도 있다.